18.224.57.16
18.224.57.16
close menu
KCI 등재
이입이출 원리와 조건문의 이해
Import-export Principle and the understanding of conditionals
최원배 ( Choi Wonbae )
철학연구 66권 129-151(23pages)
DOI 10.26839/PS66.5
UCI I410-ECN-0102-2023-100-000905647

이 글의 목적은 이입이출 원리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일상적 조건문 “A일 경우, B이면 C”가 “A이고 B이면, C”와 논리적으로 동치임을 말하는 이입이출 원리는 자명한 원리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입이출 원리는 다른 원리들과 잘 조화되지 않는다. 이입이출 원리를 받아들일 경우 다른 중요한 원리를 포기해야 한다거나 불합리한 결과가 따르곤 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까? 나는 이 글에서 이입이출 원리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왜 이입이출 원리의 반례가 생겨나는지를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mport-export principle. The import-export principle, which says that “if A, then C if B” is logically equivalent to “If A and B, then C” seems to be self-evident. However, the import-export principle does not harmonize well with other principles. This is because if you accept the import-export principle, you have to give up other important principles, or unreasonable results are often followed. What decision should we make in this situation?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import-export principle is invalid, and explain why counterexamples to the import-export principle arise.

Ⅰ. 머리말
Ⅱ. 이입이출 원리가 왜 문제가 되는가?
Ⅲ. 과연 이입이출 원리의 반례인가?
Ⅳ. 중첩 조건문과 조건문의 이해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