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161.132
18.227.161.132
close menu
KCI 등재
‘리좀학(Rhizomatique)’의 가능성 -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확장 -
The Possibility of ‘Rhizomatique’ - The Academic Principle and Expansion of Deleuze Philosophy -
최진아 ( Choi Jin A )
시대와 철학 30권 4호 55-87(33pages)
DOI 10.32432/KOPHIL.30.4.4
UCI I410-ECN-0102-2021-100-000514840

현대의 학문적 새로움에 대한 요구는 철학에서 뿐만 아니라, 예술, 정신분석학, 과학 등의 모든 학문 영역에서 일어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대적 사유의 움직임은 공통적으로 이전과는 다른 ‘사유’와 ‘가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들뢰즈 철학은 플라톤 철학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비판과 창조라는 이중적인 철학의 ‘망치질’을 통해 새롭게 정의된다. 철학은 끊임없이 새로운 개념들을 창조하는 학문이다. 들뢰즈는 자신의 철학적 정의(“철학은 개념의 창조”)에 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개념들(예컨대, 내재성, 강도, 생성, 일의성 등)을 만들고 창조하면서 삶과 세계의 현상을 진단하고, 삶의 다양한 가능성을 발굴해 내며 이러한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명령하는 이른바 ‘미래의 예술가-철학자’로서의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들뢰즈 철학의 명령과 입법으로서의 ‘생성하라!,’ ‘창조하라!’ 그리고 ‘실천하고 변혁하라!’ 라는 세 가지 명법은 바로 새로운 철학이 수행해야할 역할과 과제를 의미한다. 들뢰즈 철학은 일반적인 학문적 정의와는 전혀 다르며, 철학에 대한 새로운 정의 그 자체가 곧 들뢰즈 철학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즉, 들뢰즈철학은 리좀(Rhizome)의 원리에 따라 기존의 가치를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들의 가능성을 창조하면서 자신의 지형을 넓혀나가며, 나아가 자신의 학문적 테두리를 벗어나 다양한 개별학문과의 연결-접속하는 리좀적 생성을 멈추지 않는다. 따라서 들뢰즈 철학의 핵심적 원리는 바로 ‘리좀’이며, 한마디로 말해서 들뢰즈 철학 그 자체가 바로 ‘리좀학(Rhizomatique)’이다. 그리고 이러한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방법론은 철학에 새로운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오늘날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융·복합적 학문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Modern demand for academic novelty has emerged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all academic areas, such as art, psychoanalysis, and science. And these moves of modern thinking have in common sought to find different ‘thinking’ and ‘value’ than before. Deleuze philosophy starts with criticism of Plato philosophy. But Deleuze philosophy does not simply remain mere criticism, but is newly defined through the ‘hammering’ of the dual philosophy of criticism and creation. Philosophy is the study to constantly create the new concepts. Philosophy is the study to constantly create the new concepts. According to his own philosophical definition (“Philosophy is the creation of concepts”), Deleuze constantly makes and creates unique concepts(e.g., immanence, intensity, creation, univocity, etc.) while diagnosing the phenomena of life and the world, discover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life, and truly carries out his duties as a so-called ‘future artist-philosopher’ who emphasizes and commands the importance of such work. In this sense, as the orders and legislations in Deleuze philosophy, three imperatives of ‘Become!’, ‘Create!’ and ‘Practice and Revolutionize!’ means the roles and tasks that the new philosophy must perform. Deleuze philosophy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academic definition, and the new definition itself of philosophy shows what Deleuze philosophy i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hizome, Deleuze philosophy criticizes existing values, extends its domain by creating the possibilities of new values, and furthermore, by going beyond its own academic boundaries, does not stop creating Rhizome connecting-accessing various individual studies. Therefore, the key principle of Deleuze philosophy is ‘Rhizome’, and in short, Deleuze philosophy itself is ‘Rhizomatique’. And this academic principle and methodology of Deleuze philosophy not only broaden new horizons in philosophy, but also show the new possibility as the academic principl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that is actively conducted today.

1. 들뢰즈 철학의 문제의식 : 새로운 시대를 위한 ‘비판’과 ‘창조’
2. 철학의 확장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3. ‘리좀학’의 학문적 원리와 방법론
4. 리좀학의 의미와 가치 : ‘지리-생태철학(Geo-Éco philosophie)’의 가능성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