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깨달음에 관한 전통시선에는 존재론적 경향이 목격된다. 존재론적 깨달음론은 순수실재나 궁극존재와의 직접 대면을 깨달음이라 간주한다. 또한 언어와 사유는 그 순수실재/궁극존재를 가리는 장막으로 보아 ‘언어/사유의 개입 이전’을 깨달음의 대상으로 설정한다. 불교인식논리학 담론을 관통하는 관심도 이러한 존재론적 시선의 연장선 위에 있다. 불교인식논리학 범주뿐 아니라 붓다의 언어를 이해해 온 전통교학과 수행론들은 그 편차가 어떻든 간에 다수가 ‘존재론적 관심’에 입각해 있다. ‘존재에 허상 입히기’ vs ‘존재에 입힌 허상벗기기, ‘존재 오염’ vs ‘존재 청정’의 대립구도를 설정하고, 허상과 오염을 벗어버린 ‘존재의 실재/실재상태’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존재론적 해석학은 붓다 법설의 계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바라문전통 우파니샤드적 관점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붓다 법설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과 계승은 그 타당성 정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붓다의 시선은 ‘굴절되지 않은 존재나 실재 그 자체’를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개념이 구성해낸 존재들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로 향하고 있다. 불교의 깨달음을 ‘순수 실재/존재에 대한 직접지각’이 아니라 ‘언어·개념적 구성세계와의 새로운 관계방식 및 그 능력’으로 보아야 한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근거들은 니까야/아함을 가득 채우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육근수호六根守護법설’에 주목하여 깨달음에 관한 새로운 독법의 단초로 삼아본다.

There is a preference to the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in traditional Buddhist doctrines. The existential views regard Enlightenment as the direct seeing Pure Reality or Ultimate Existence. They say that language and thought are the barrier of Pure Reality/Ultimate Existence, thus the realm of pre-language/thought is Enlightenment. There seems to be a lot of doctrines and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existential preference in Buddhist tradition. In my opinion, this existential interpretation of Buddhist philosophy seems not to be the succession of Buddha’s teaching but the view of Upanisad in Brahman tradition. I think the existential interpretation of Buddhist philosophy needs to be investigated critically.
I think, Buddha’s teaching does not aim at the Ultimate Reality itself but the new relationship with language/thought-connected experiential phenomena and its ability. Buddha had not spoken any Ultimate Reality as the goal. Whereas there are abundant discourses that can be understood as the teaching of New Relationship with language/thought-connected experiential phenomena and its ability in Nikaya/Agama. I took a notice of ‘The Discourse of Protecting Six Organs of Perception’(六根守護法說) as a first step to demonstrate my opinion in this treatise.

목차

[한글 요약]
Ⅰ. 분별·희론과 깨달음에 대한 전통적 시선
Ⅱ. 존재론적 관심과 언어인간
Ⅲ. 존재론적 시선과 붓다 법설의 상응 문제
Ⅳ. 새로운 독법의 근거 - 육근수호의 법설
Ⅴ. 나가는 글 ; 깨달음에 대한 존재론적 시선에 수반하는 문제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