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표는 “도덕의 병원적 속성”에 대한 프로이트의 정의 및 대안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도덕으로 인해서 발생한 정신적 고통, 소위 도덕적 질병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구조구성주의 상담모델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일차적으로 니체, 프로이트 그리고 라캉으로 이어지는 윤리에 대한 비합리론적 이론과 플라톤, 칸트, 하버마스 그리고 매킨타이어로 이어지는 윤리에 대한 합리론적 이론 사이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을 “구조구성주의의 윤리설”(필자의 고유한 명칭)로 종합하는 것이고, 이차적으로 이를 근거로 한편에서는 정신분석적 상담모형과 인지행동치료 상담모형을 종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지언 인지모형(Bayesian Cognition Model)과 크래이그의 수사학적 소통모형(Rhetorical Model of communication by Craig, R. T.)을 통합하는 새로운 상담모형, 즉 “구조구성주의 상담모형”(필자의 교유한 명칭)을 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의 제한적인 이 지면에서 상기의 모든 내용을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현재의 논문에서는 우선 일차적인 문제, 즉 윤리에 대한 합리론적 입장과 이것에 대한 비판인 정신분석적 입장을 비교하면서, 양자의 종합 가능성 및 그 필연성을 구조구성주의 윤리설이라는 이름으로 해명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구조구성주의 상담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은 차후에 다른 지면에서 수행될 것이다.

The first assignment of this article seeks to critique on Freudian definition and alternative about “the pathogenic property of moral”, and the second one construct the structure-constructivist counselling model for healing of moral suffering. But the present article is limited to the first one, because of limited papers. So I would like to introduce, in the first article, the structure-constructivist theory of moral, synthesizing the genealogical and psychological model developing from Nietzsche to Freud, and the rational model of moral discourse developing from Habermas to MacIntyre. To do this, I will focus on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ir respective models, and offer a new one of moral discourse. Nietzsche and Freud have dissolved the foundations of moral discourse, pointing out that our bad conscience is the price and the illness of civilization. But they did not provided the new alternative of moral discourse. In the other hand, Habermas and MacIntyre tried to give the new possibility of moral discourse without foundations. But their alternatives have the weakness in that they suppose the realism of moral values. The structure-constructivist model therefore argues in the one hand that moral judgements are capable of neither objective truth nor objective falsehood, and in the other hand that Nietzsche and Freud confused “conscience” which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with “collective pressure” which refers to the feeling of being collectively judged. So I finally argue that the foundation of moral discourse should be the conscience which faces not the guilty but the absurdity.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문명화와 도덕의 근원: 나쁜 양심
Ⅲ. 정신의 3분법적 구조모델
Ⅳ. 처벌과 기억
Ⅴ. 비합리론 비판
Ⅵ. 합리적 담론과 도덕의 새로운 토대 구축 ; 하버마스와 매킨타이어
Ⅶ. 합리론적 대안 비판 ; 가치 명제의 진리성
Ⅷ. 결론 ; 구조구성주의 윤리학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