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름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역사와 함께해 온 이 물음은 특히 20세기를 관통하는 영미철학계의 중심적인 주제이다. 역사적으로 고유명에서 중요한 쟁점은 기술주의와 밀주의로 표면화된 고유명의 내포에 관한 것이였다. 이름이 내포를 가지고 있다는 주장으로 대변되는 기술주의와 이름이 내포를 가지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대변되는 밀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진정한 고유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기술주의와 밀주의 각각이 불러오는 모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고유명에 대한 밀과 프레게의 전통적 논의와 함께 고정지시어로 대변되는 크립키의 직접 지시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고유명의 내포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름을 부여받은 대상이 필연적으로 만족하는 속성의 존재에 주목하여 고유명이 내포를 가짐을 주장한다. 이어 고유명이 내포를 가진다고 할 때 제기되는 양상적 비판, 비양상적 비판과 같은 주요한 난점들이 크립키에 의해 주창된 고정지시어와 가능세계라는 철학적 장치의 도입 없이 해소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What does proper name mean?” This question, which has been with the history of philosophy, also has been a central theme in Analytic philosoph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Historically, main controversial issue in proper names is about the connotation of proper names exposed to the surface by descriptivism and millianism. Descriptivism, represented by the assertion that names have connotations, and millianism, represented by the assertion that proper names do not have connotations, are the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roper names an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brought about by descriptivism and millianism respectively. For this purpose, I will critically review S. Kripke’s direct reference theory represented by rigid designator along with classical arguments of J.S. Mill and G. Frege on proper names, and present a new point of view on the connotation of proper names. In this paper, I argue that proper names have connotation, taking note of the existence of attributes that are inevitably satisfied by the object to which the name is given. Next, I will show that important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proper names have connotations can be resolved without using the philosophical devices of rigid designator and possible worlds introduced by Kripke.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기술적 이름이론의 난점
Ⅲ. 밀주의에 대한 프레게의 비판 ; 크립키의 해결법과 한계
Ⅳ. 이름의 내포와 명명의 이유
Ⅴ. 명명(命名)의 이유와 명명의 방법 ; 다트머스 문제의 해결
Ⅵ. 양상적 논증에 대한 해법
Ⅶ. 직접 언급론의 난점과 새로운 해결법
Ⅷ.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