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미국이 기술-경제-군사력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심지어는 유럽도 국제사회에서 주변부 국가로 밀려나고 있다. J. 데리다는 이를 ‘유령의 지배’라고 비판하면서 「희망의 유럽(A Europe of Hope)」에서, 유럽은 계몽주의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되살려 ‘반세계화 투쟁’에 나설 때라고 호소한다. 하지만 데리다의 이와 같은 계몽주의적 꿈이 과연 인류를 위한 꿈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은 그가 유럽을 “다른 인간 문화들 중의 하나의 본보기라거나 다른 지역 문화들 중의 하나의 지역 문화가 아니라 최상의 모델이자 최고의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드는 생각이다. 데리다의 이와 같은 ‘극장의 우상’은 ‘유럽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모면하기 힘들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계몽주의적 유럽중심주의를, D.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을 지방화하기』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논의를 해볼까 한다. 이 책에서 그는 서구유럽이 주도한 역사는 ‘보편적 역사’를 서술한 것이 아니라 서구유럽인만을 위한 ‘지방의 역사’, 즉 ‘특정 지역에 특화된 역사’의 서술일 뿐이라고 단정한다. 유럽은 보편주의의 산실이 아니라 특수주의의 온상이라는 것이다. 『유럽을 지방화하기』는 바로 이러한 유럽식 보편주의의 오남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보편주의의 재구성’에 도전한다. ‘재구성되어야 할 보편주의’는 로컬 지역들의 다양한 지식들, ‘위계없는 지식들’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이런 까닭에 차크라바르티가 꿈꾸는 보편주의는 절대/상대, 중심/주변(지역)의 이분법적 논리 안에 유폐되지 않고 모든 지식이 하나의 생태학을 지향하게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보편적인 것’은 어느 지역에나 존재한다. 모든 지역이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서고, 스스로 근대화되는 것, 이것이 데리다의 유럽에 제한된 계몽과 구분되는 차크라바르티의 본래적 의미의 ‘계몽’이라 할 수 있다.

As the United States took over the power of technology, economics, and military power, even Western Europe was pushed from the center to peripheral countries. J. Derrida, criticizing it as “domination of ghost”, in the 「A Europe of Hope」, makes an appeal that it is time to turn to “anti-globalization struggles” by reviving the legacy inherited from Enlightenment. But can we say that this kind of Enlightenment dream is the dream for mankind? The reason that this question is raised is because he is calling Western Europe as “not one example among the other human cultures or one local culture among the other local cultures but the best model and the best culture.”
It would be hard for Derrida’s “Idol of the Theater” like this to escape critique of “Europeanism”. In this paper, we, centering on D. Chakrabarty"s Provincializing Europe, will discuss this Enlightenmental Europeanism critically, In this book, he argues the history led by Western Europe as being not a description of the “universal history” of humanity, but a description of “local history” only for Western Europeans, vis. “specialized history to a particular region”. Here is the paradox of universalism. Western Europe is not a breeding ground for universalism, but a hotbed for particularism. Provincializing Europe raises a question to this misuse of Western European universalism and challenges the reconstruction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which needs to be reconstructed dreams of a new world where various knowledges of locality and ‘non-hierarchical knowledges’ coexist. For this reason, Chakrabarty"s dream of universalism is not confined in the dichotomous logic of absolute / relative, central / peripheral (local), and all knowledge is directed towards an ecology. According to this criterion, ‘the universal’ exists in any region, viz. in any locality. That all locals stand by themselves and bloom by themselves, it is the Enlightenment which Chakrabarty intends originally, which results in distinctness from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limited to Western Europe.

목차

【요약문】
1. 서구유럽의 세계 계몽에 대한 환상
2.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의 지방화 논제’의 지향과 목표
3. 각 지역-로컬에서 ‘지금’ ‘직접’ 써야 하는 보편적 역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