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창발적 자연주의’라는 관점에서 듀이의 미학을 자연주의 예술철학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필자는 듀이의 미학이 예술철학에 대한 자연주의적 전환을 한 세기 전에 이미 보여 주었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전환의 과정을 세 번의 탐구 과정으로 밝히려고 한다. 본 논문은 그 첫 번째 탐구의 과정으로, 듀이의 ‘미적 경험’에 대한 분석미학사의 불투명한 이해와 오해를 걷어내는 데 있다. 필자는 듀이의 미적 경험과 ‘하나의 경험’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이해가 영미미학에서 분석적 방법론이 도입되었던 시기에 두 번의 단절을 겪었다고 주장한다. 한 번은 알렉산더가 공식화한 페퍼크로체 논제 안에서 헤겔적인 전체론으로 해석되었으며, 다른 한 번은 디키비어즐리의 미적 경험 논쟁 안에서 칸트적인 이원론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그 논쟁 과정들은 경험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몸의 부재’에서 출발하고 있었다. 듀이의 미적 경험은 몸과 마음이 분리되지 않는 질적인 성질들이 편재된 ‘통합된 경험’에 관한 해명이며, 하나의 경험은 그러한 통합성 안에서 이루어지는 지성적 또는 반성적 사고 활동의 귀결이다. 즉, 하나의 경험은 몸을 통해 경험한 질적인 세계 안에서 의미를 산출하는 ‘창발’의 과정을 예증하고 있다. 우리 경험에 대한 창발적 이해가 바로 칸트와 헤겔 사이에 갇히지 않은 제3의 시각이며, 이와 같은 제3의 길에서 듀이의 미학은 출발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Dewey’s aesthetics as “the naturalistic philosophy of art” in terms of “emergentist naturalism.” In doing so, I will take on three steps of the inquiry, among which this paper marks the firs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re have been two remarkable interruptions in interpreting Dewey’s concep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n experience” in the analytic tradition of Anglo-American Aesthetics, which disregarded the naturalistic approach: The one was the Pepper-Croce thesis, and the Dickie-Beardsley debate over the nature of aesthetic experience on the other. The former would interpret Dewey’s conception of experience as a form of Hegelian holism, while the latter would interpret it as a form of Kantian dualism. It turns out, however, that both of the interpretations were done under the same assumption of “the absence of the body,” although they carrie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experience. Dewey’s conception of aesthetic experience is elaborated as a form of unified experience, which means that mind can never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reby making our all organismic experience carry qualitatively pervasive properties. Dewey has consistently emphasized this unity of experience, which means that an experience is to be a result of intelligent or reflective activities achieved from the qualitative experience. Namely, an experience is a vital exemplification of the continuous process of “emergence.” This is why emegentist understanding of experience should make the third way which is free from both Kantian and Hegelian interpretations,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the point where Dewey’s aesthetics has started.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잃어버린 미적 경험: 칸트와 헤겔 사이에서
3. 신체화된 경험의 편재적 성질
4. 하나의 경험을 한다는 것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