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그 원리상의 난점과 의의에 관한 시론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마음과 인지의 본성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탐구와 관련하여 대니얼 데넷(1942- )이 유물론, 자연주의, 과학주의를 옹호해왔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의 철학에서 상당히 놀랍고 다소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그것은 데넷이 인지의 본성을 해명하는데 있어서 모종의 ‘현상학’을 제안해왔다는 점이다. 그는 고전적인 후설 현상학을 ‘오토 현상학’이라고 칭하고 그것을 맹렬하게 비판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을 ‘헤테로 현상학’이라고 이름 짓고 그것이 현대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의 적실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기에서 필자는 다음 물음을 제기한다. 마음 연구 일반과 관련하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은 정확히 무엇인가? 그 현상학의 난점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이 ‘현상’ 개념을 변형함으로써 인지와 마음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지만 그럼에도 그 원리적 변형이 상당히 심하므로 그것이 적절한 형태의 현상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입적 환원’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방법적 원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논의가 성공적일 경우 우리는 보다 더 확장된 현상학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마음의 본성을 규명하는 데에 이른바 1인칭적인 현상학적 접근과 3인칭적인 과학적 접근을 부분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론의 실마리를 낳을 것이다.

Regarding the scientific and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mind and cognition, it is well-known that Daniel Dennett(1942- ) has defended materialism, naturalism, and scientism. But there is a quite surprising and somewhat unknown fact in his philosophy. It is that Dennett has suggested a certain sort of “phenomenology” in carrying out th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cognition. He has dubbed the classical Husserlian phenomenology as “auto phenomenology” and vehemently criticized it. Whereas he calls his own phenomenology as “hetero-phenomenology”, and asserts that it can be the proper method both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s and the philosophy of mind. Now I raise the question, exactly what is Dennett’s hetero-phenomenolog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ind in general? What could be its inherent significance and difficulty? Concerning these questions, I propose that hetero-phenomenology, by means of modifying the notion of phenomenon, can extend the range of phenomenology, but because it’s modification is quite severe, it still needs a specific methodological principle called the “empathetic reduction”, in order for it to be the proper form of phenomenology. If this inquiry is successful, it will make us have an extended form of phenomenology, and it will bring about an important clue for a consilient method for pinning down the nature of mind in which the first-pers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third-person scientific approach can be partly combined.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데넷, 지향성, 그리고 도구주의
3. 고전적 현상학의 ‘현상’ 개념
4.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 - 그 이념과 특징
5. 헤테로 현상학의 의의(意義)
6. 헤테로 현상학의 난점
7. 적실한 형태의 헤테로 현상학을 향하여
8.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32-003143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