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윤리적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는 기본적으로 사고를 표현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데에 있다. 언어의 이 같은 기능은 삶 속 존재 유지에 충분하지 않은가? 하지만, 이것은 자기를 밖으로 드러내는 행위에 그친다. 바꾸어 말하면, 이것은 타자를 자기안으로 맞아들이지 않는다. 레비나스에게 언어란 접촉, 어루만짐, 가까움으로써 타자를 책임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감성의 양상이고 시간을 참조하게 한다. 그리고 말함이 바로 이것들을 함유한다. 존재론에 종속됨이 없는 말함, 이것은 앎의 말해진 것과는 달리, 타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발가벗겨진 투명한 마음을 드러낸다. 내 편의 ‘결정’없이 이루어지는 수동성으로서 타자로의 나의 노출. 수동성은 자기에-반해 타자를 위한 책임에 사로잡힌 수동성이다. 이 수동성은 레비나스의 사유 안에서 말함과 책임을 설명하기 위한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 주체의 지위는 폐위(déposition)이다. 이것은 말함의 주체성을 규정하는 특성이다. 복종의 명령에 따르는 주체는 명령의 들음 이전에 명령에 응답한다. 이것은 타자의 얼굴과의 만남에서 일어난다. 우리는 여기서 언어와 말함의 윤리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What is an ethical language? Language is to expresse the thought,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is function of language, one may ask ; is that enough for the persistence of being in life? However, one can find the function would end up in his own expression rather than toward outside. In other words, language function in that sense does not welcome others to its interior. Levinas, quite opposite to this function of language, sees language as contact, caress and proximity. According to Levinas, this is the modality of sensitivity and time. And the saying contain the sensitivity and the time stated above. The saying, without being subordinated to ontology, otherwise than the said of knowledge, show the transparent heart stripped to welcome the other. One’s exposure to the other as a passivity is done without a decision on my part. The passivity is one that is imbued with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despite oneself. According to Levians, this passivity has the particular position to explain both the saying and the responsibility, and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s meant to be the deposition. This is where one claim the originality that refers to the subjectivity of the Saying. The subject following the command of obedience responds even before hearing the order. which happens when the subject come across the face of others. This paper discovers that in the interaction, there can find be the ethical possibility of language and the saying.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언어의 본래적 대면
3. 언어 : 감성적인 것과 시간화
4. 말함과 말해진 것
5. 말함과 주체
6. 증언 : 마음을 주기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