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존 맥키의 오류이론과 그 이론에 근거한 리차드 조이스의 허구론이 갖는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맥키는 오류이론에서 모든 “객관적” 가치를 부정하고 있지만, 현실의 도덕생활에서는 객관성을 가진 도덕체계, 즉 도덕인지론이 가능한 체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리차드 조이스는 맥키의 오류이론을 발전시켜 허구론을 제시하는데, 이것에 의하면,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도덕규범과 도덕체계는 단지 허상일 뿐이다. 모든 도덕적 판단은 “잘못된” 것이고 도덕적 믿음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현실생활의 도덕체계는 유용하므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각 이론의 특징을 설명하고, 문제점을 지적한다. 허구론에 따르면, 도덕체계가 허상이므로 이 체계 자체에 사람들로 하여금 도덕적 행동을 하게하는 권위나 설득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덕행위자들이 도덕규범을 저버리고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할 때에, 도덕체계는 완전히 무기력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사람들 간에 도덕적 이견이 생겼을 때, 이것을 도덕적 힘으로 중재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허구론에서는 객관성 있는 도덕체계가 존속해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어렵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맥키의 경우에는 주관적인 도덕 감성을 인정하므로, 조이스의 경우보다 좀 나을 수도 있지만, 가치판단의 객관화를 부정하고 모든 “객관적” 가치를 배제하려는 오류이론 때문에 역시 조이스의 허구론과 비슷한 문제에 빠진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problems with John Mackie’s error theory and Richard Joyce’s fictionalism which is grounded in the former theory. Although Mackie denies all the “objective” moral values, he admits that a human society can have a moral institution, by which moral cognitivism is actually possible. Richard Joyce proposes fictionalism, according to which, all moral values and institution in our moral experiences are not real; all moral judgments are “false,” and moral belief should be abandoned. Nevertheless moral institution in actual life should be maintained, he argues, because it gives us some benefit. The author explains and criticizes each theory. According to the fictionalism, moral institution is an illusion. It can mean that it has no authority or persuasiveness to exhort people to carry out moral conducts. So it would be completely incompetent when people prefer chasing their own interests to observing moral norms. Similarly, it cannot mediate moral disagreements. For these reasons, the fictionalism hardly shows, the author argues, that moral institution stands on a stable ground. Mackie’s theory would be a bit better in showing the institution’s stability, thanks to the notion of subjective moral sentiment. But since the error theory rejects moral objectivity and all “objective” values, the author argues, Mackie’s theory would be caught in the same problem.

목차

【요약문】
1. 머릿말
2. 맥키의 오류이론과 세 가지 개념의 객관성
3. 허구론과 보존론
4. 허구론의 문제들
5. 두 단계 사고의 분리와 일상적 도덕체계
6.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