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에티엔 발리바르의 반폭력의 정치에 대하여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에티엔 발리바르의 폭력론을 극단적 폭력과 시민다움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것의 이론적 의의와 과제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리바르는 1990년대 이후 현대 폭력의 문제를 극단적 폭력(내지 잔혹성)과 시민다움이라는 두 가지 개념의 관계에 입각하여 이론화하려고 시도해왔다. 그는 극단적 폭력을 정치의 가능성의 조건을 잠식하는 폭력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일상적인 폭력 및 구조적 폭력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제시한다. 극단적 폭력은 초객체적 폭력과 초주체적 폭력이라는 두 가지 하위 범주로 구별되는데, 전자는 인간을 사물화하는 폭력이며, 후자는 개별적인 인간들을 민족이나 인종 같은 초주체의 의지에 종속시키는 폭력이다. 이러한 극단적 폭력에 맞서는 정치를 그는 반(反)폭력의 정치 내지 시민다움의 정치라고 부르면서 시민다움의 세 가지 전략을 각각 헤게모니의 전략, 소수자 전략, 다수자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발리바르의 폭력론은 비폭력과 대항폭력으로 분류되는 기존의 폭력 이론, 특히 대항 폭력을 중심으로 한 반국가적, 반제도적 폭력이론에 비해 현대 사회의 폭력 현상들을 더 세심하고 정교하게 분석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정치의 개념을 해방, 변혁, 시민다움으로 구분할 뿐만 아니라 시민다움의 정치 역시 세가지 전략으로 분류함으로써, 잘 알려진 다른 폭력이론에 비해 구체적인 정치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준다. 다만 구조적 폭력과 극단적 폭력의 관계에 대해 더 분명한 탐색이 필요해보이며, 일상적인 삶 속에서 작용하는 극단적 폭력의 유형화에서도 더 섬세한 분석이 요구된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Etienne Balibar’s theory of violence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extreme violence and of civility. Since 1990s Balibar has tried to theorize the various phenomena of violence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two concepts, i.e., extreme violence(or cruelty) and civility. According to his theory, extreme violence is one which undermines the possibility of politics itself, and in that, distinct from banal and structural violence. It comprises two sub categories: ultra-objective violence, which transforms human beings into some disposable things, and ultra-subjective violence, which subjugates individuals to the will of ultra-subjectivity(Nation, God ...). Against the extreme violence, he proposes the politics of civility, or of anti-violence, which, in turn, comprises three strategies: hegemonic, minoritarian, majoritarian. While Balibar’s theory of violence has some remarkable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other contemporary theories, nevertheless, it needs further elaborations in some critical points: difference between structural violence and extreme violence, the banalization of cruelty in everyday life.

목차

【요약문】
1. 발리바르 폭력론의 문제설정
2. 극단적 폭력 개념
3. 시민다움의 전략
4. 몇 가지 쟁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0-001314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