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루소와 쉴러는 자유의 문제를 교육과 연관해 논의를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이때 어떻게 개개 인간을 자유를 매개로 하나의 자율적 인격체로 성장시키는가가 양자의 교육론의 초점이 된다. 루소는 자연적 자유라는 이상적 자유의 상황을 설정, 이것이 사회적 자유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교육학적으로 고찰한다. 이때 루소는 자연적 감정인 동정심과 양심을 근거로 자연적 자유가 사회 속에서도 가능함을 입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루소는 자연적 감성에 바탕을 둔 건전한 상상력의 배양을 교육의 주된 수단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루소는 이러한 상상력의 가능조건에 대해 방법론적으로 제대로 성찰하지 않음으로써 한계를 드러난다. 쉴러는 이러한 루소의 한계를 건전한 상상력의 가능조건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을 수행함으로써 극복한다. 그에 따를 때, 자유의 상태로 간주되는 미적 체험을 통해 인간은 일상적, 이기적 욕망 등을 넘어서게 되고, 여기서 비로소 상상력의 활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상력의 올바른 가능조건에 대한 이러한 방법론적 성찰은 현상학에서 주장되는 에포케(판단중지)의 실행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쉴러에서 미적 자유의 체험은 곧 현상학적 에포케의 의미를 지닌다. 루소와 쉴러는 감성적 체험에 근거해서 자유의 교육론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으로 공통점을 지니지만, 한편으로 에포케의 실행여부라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Rousseau finds the state of ideal freedom in natural freedom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extended to social freedom educationally. In this context, he tries to prove that the natural freedom is possible even in a society on the basis of natural emotions such as compassion and conscience, and regards the cultivation of sound imagination based on natural sensibility as a main means of education to reach the goal. The problem is that he does not in any way methodologically reflect on the possible conditions of this imagination. Schiller overcomes this limitation of Rousseau by carrying out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f possible conditions of a good productive imagination related to aesthetic virtuality(ästhetischer Schein).
According to Schiller,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is regarded as a state of freedom, human beings can transcend ordinary, selfish desires, and only after that the imagination might work properly. This methodological reflection on the correct conditions of imagin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pochē(suspension of judgment) as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overcome prejudice and biased belief. So the experience of aesthetic freedom in Schiller has the meaning of a phenomenological epochē. Rousseau and Schiller have a phenomenological commonality in that they develop the theory of freedom-education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but on the other hand, they show a difference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whether the method of epochē is applied or not.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자유와 교육과의 관계
3. 루소의 자유의 교육론
4. 쉴러의 자유의 교육론
5. 루소와 쉴러의 방법론상의 차이
6. 현상학과 자유의 교육론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100-00128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