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0.255
3.144.100.255
close menu
KCI 등재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초기 대화편에 나타난 INTENTIO의 근본 의미 -『카데미아학파 반박』과 『행복론』을 중심으로-
Fundamental Meaning of st. Augustine’s intentio in his early Dialogu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De contra Academicos and De beata uita
배성진 ( Bae Sungjin )
중세철학 25권 43-112(70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0485859

아우구스티누스의 첫 번째 대화편에서 intentio는 “도달하고 소유해야 할 궁극적목적(finis)인 지혜(sapientia)를 지향하는 영혼의 목적론적 운동으로서, 이 운동은사랑(amor), 의지(uoluntas), 그리고 욕망(appetitus)이라는 영혼의 존재를 구성하는욕구적 차원(pondus/ordo)을 그 동력으로 갖는다.” 따라서 인식의 관점에서 본아우구스티누스의 intentio는 “지혜에 대한 사랑(amor sapientiae/studium sapientiae)”인philosophia 개념과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인간 영혼(animus)의 존재가 지닌 ‘인식적차원(scire/sapere)’과 ‘욕구적 차원(studere/cupere/amare)’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열어 보인다. 이렇게 intentio 개념을 통해, 우리 저자는 목적과 이성적 영혼 사이의존재론적 상관성을 해명하는데, 이것은 하나의 목적이, 보고 인식하며 욕망하고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주체에게 그것의 인식적 차원(species/forma/numerus), 곧 가시성과 가지성, 그리고 아름다움과 사랑스러움 안에서 스스로를 개현하는 근본 구조를 가리킨다. 이 구조를 바탕으로 영혼은 그가 사랑으로 지향하는 목적을인식(uisio) 안에서 소유함으로써 자기 존재의 ‘양적 차원(modus/mensura)’을 재규정하게 되며(magis esse/minus esse), 이러한 인식론적이면서 동시에 존재론적인영혼의 변형은 사랑에 의해 촉발된 그의 intentio를 통해 실현되는 것이다. 영혼이지닌, 다른 존재자들과 구별되는, 이러한 존재론적 역동성이 삼위일체에 적용될때, 우리는 모든 존재자가 지닌 삼중의 존재론적 차원의 기원(principium)과 목적(finis)을 알게 되는데, 성부는 ‘최상의 척도(summus modus)’로, 성자는 ‘지혜와진리(sapientia/ueritas)’로, 그리고 성령은 영혼의 인식능력의 ‘조명(iubar)’이자 하느님을 향해 그의 사랑을 이끄는 동력(admonitio/caritas)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일 영혼이 오직 성령의 힘으로 성자를 통해 성부께 도달함으로써만자기 영혼의 충만함인 행복(beata uita)에 도달한다면, 아우구스티누스의 intentio는일찍이 ‘삼위일체적 창조의 형이상학’에 바탕을 둔, 영혼의 존재가 지닌 ‘삼위일체적구조’를 드러내 주며, 그 안에서 우리의 렘마는 영혼의 욕구적 차원을 그 동력으로하여 그의 양적 차원과 인식적 차원을 결합하는 원리를 의미하게 된다.

In the first philosophical Dialogues of st. Augustine, our lemma intentio shows itself as a teleological movement of the human soul (animus) that aims at the final end (finis), i.e. the wisdom, to reach and possess by virtue of a volitive dimension of its being (pondus/ordo) like amor, uoluntas and appetitus, etc. From the cognitive viewpoint thus st. Augustine’s intentio comes to be connected with the Greek concept of philosophia as amor sapientiae or studium sapientiae, manifesting a close bond between the two dimensions the human soul’s being inasmuch as being has: the cognitive dimension (scire/sapere) and the volitive dimension (studere/cupere/amare). With such a concept of intentio our author makes clear the onto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nd and the rational soul, implicating the fundamental structure, in which the end manifests itself in its cognitive dimension (species/forma/numerus) like as not only its visibility and cognizability but also its beauty and lovability to the subject capable of seeing, knowing, and loving. Based on such a structure, the human soul can redetermine its ontological quantitative dimension (modus/mensura) by possessing the very end in seeing it by virtue of love and this modification of the soul, epistemological as well as ontological, is made possible thanks to the intentio directed and pushed by love. When this ontological dynamism the human soul has distinctively from all other bodily beings is applied to the Holy Trinity, we come to know the principle and the end of the triadic ontological dimensions all beings have in common, in that the Father is considered as the summus modus, the Son as the sapientia/ueritas, and the Holy Spirit as the light (iubar) for the human cognitive faculties or the motor that pushes and directs the soul’s love toward God (admonitio/caritas). If then we can reach our happiness (beata uita) only by arriving at the Father through the Son by virtue of the Holy Spirit, from the very beginning, we can affirm, st. Augustine’s intentio demonstrates, as it were, the trinitarian structure of the human soul’s being based on the metaphysics of the trinitarian creation, in which our lemma indicates the principle that unites the quantitativ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which the soul’s being has, under the power of its volitive dimension

서론
연구대상
Intentio: 목적을 지향하는 영혼의 운동 (motus animi tendendi in finem)
Intentio와 지혜에 대한 열망(stadium sapientiae)
충만한 향유(perfrui)와 사랑의 무게(pondus amoris)
사랑의 힘으로 진리를 통해 최상의 척도를 지향함: Ad summum modum per ueritatem ex caritate
나가는 말
참고문헌
약어표
[Abstra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