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의 논의는 신경이미지 실험이 윤리학적 논의에 어떻게 연관될 수 있으며 어떤 영향들을 미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를 다룬다. 본고의 목표는 그린(J. Greene)의 이중과정 모델(Dual Process Model)을 뒷받침하는 신경이미지 실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그린의 입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선 그린의 이중과정 모델을 지지하는 신경이미지 실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신경 실험은 인간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어떤 경우에는 인지적 판단을 하고 어떤 경우에는 감정적 판단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린의 주장에 따르면, 인지적 판단은 공리주의적 판단이고 감정적 판단은 의무론적 판단이다. 감정적 판단은 집단 내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유용할 수 있지만 상식을 공유하지 않는 집단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도덕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인지적 판단을 기반으로 한 도덕 이론을 가져야 한다고 그린은 주장한다. 논자는 그린의 주장이 가진 몇 가지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감정적 판단이 집단과 집단 사이의 도덕적 갈등을 해결하는데 적절하지 않으며 이런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리주의적 사고를 추구해야 한다는 그린의 주장에 반대할 것이다. 집단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리주의적 사고를 적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감정에 기반을 둔 판단에 의존하는 것이 때로는 이런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린의 신경이미지 실험에서의 감정적 판단이 의무론적 판단이라는 입장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어서 그린이 말하는 감정적 판단이 의무론적 판단이 아닌 다른 종류의 판단일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한 판단은 유덕한 사람이 내리는 판단 혹은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에 의해 내려진 판단일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 판단은 자기충실성을 가진 사람이 내리는 판단일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In this essay, I deal with a case which shows how experiments with neuro-images can be involved in and affect ethical discussion. My pursuit in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he dual process model suggested by Greene is problematic by critically examining neuro-image experiments that support the model. To this end, I first explain the neuro-image experiments that reveal how human agents make moral judgments. These experiments tell us that agents make moral judgments sometimes relying upon cognitive ability and sometimes on emotions. According to Greene, the judgments made by cognition are following the principle of consequentialism and the judgments by emotion can be regarded as deontological. Greene argues that emotional judgments can be useful for resolving moral issues within a society but not for settling moral issues between societies which do not share common sense about morality. Greene suggests that we should have metamorality based on cognitive judgments in order to find ways in which moral issues can be handled. I offer some points against Greene’s arguments. I argue against the claim that judgments by emotion are not appropriate for settling moral issues between societies but cognitive judgments are for doing so. I argue that consequential solution can be problematic for resolving the issues and sometimes emotional judgments can be better for the task. Next, I argue that the claim that emotional judgments are deontological is problematic. I also suggest some alternative views for Greene’s view about emotional judgments. I argue that they can be regarded as judgments made by virtuous agents, volitional necessity, or a person of integrity.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그린의 이중과정 모델
Ⅲ. 고차적 도덕으로서의 공리주의
Ⅳ. 감정적 판단에 관한 대안적 설명: 덕윤리와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 및 자기충실성(integrity)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