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38.31
18.188.238.31
close menu
KCI 등재
『자본론』에서 ‘지배’ 개념: ‘경제적 권력’과 익명의 전제군주
The Concept of Domination in Das Kapital: ‘Economic Power’ and the Anonymous Autocrat
한상원 ( Sangwon Han )
시대와 철학 34권 2호 115-153(39pages)
DOI 10.32432/KOPHIL.34.2.4
UCI I410-ECN-151-24-02-088774318

이 글은 맑스의 주요 저작인 『자본론』에 서술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경제적 운동이 어떻게 그와 동시에 발생하는 정치적 지배와 강제력을 낳는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자본을 전 사회적으로 모든 것을 지배하는 일종의 ‘경제적 권력’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로 제시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맑스가 정치경제학 비판 기획 속에서 ‘경제적 범주들은 어떻게 권력을, 즉 (정치적) 지배력과 강제를 형성하는가’라는 물음을 제기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려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자본론』 1권 상품과 화폐 편부터 절대적,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에 이르기까지 맑스의 서술을 여러 해석가들의 도움을 빌려 재해석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자본에 대항하는 계급투쟁의 개표와 언어가 잉여가치의 직접적 생산자들이 자본가에 대항해 벌이는 투쟁이라는 논리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자본에 대항하는 보편적 ‘데모스’의 민주주의를 획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함축하는 것이다. 이를 필자는 ‘대항정치로서 민주주의’로 명명하려 한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economic movement of capitalism, as described in Marx's main work, Das Kapital, produces parallel political domination and coercion. This analysis will be present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capital as a kind of 'economic power' that dominates everything in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is, the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at Marx raises the question of political dominance and coercion in the project of criticizing political economy. To achieve this goal the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Marx's descriptions from the first volume of Das Kapital. As a result,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language of the class struggle against capital must transcend the logic of the direct producers of surplus value fighting their capitalists and instead move towards the realization of a universal ‘demos’ democracy against capital. I will refer to this as ‘democracy as counter-politics’.

1. 들어가며
2. 상품과 화폐: 추상의 지배적 강제력
3. 자유로운 계약의 체결과 잉여가치의 발생: 경제적 운동의 정치적 귀결
4.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주의와 시간의 지배
5. 노동일: 시간을 둘러싼 계급투쟁의 정치성
6.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자본’이라는 이름의 리바이어던
7. 나가며: ‘현대적 전제군주’에 대항하는 민주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