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7.125
18.118.27.125
close menu
KCI 등재
자아 동일성에 관한 흄의 설명: 1인칭 관점의 설명과 3인칭 관점의 설명
Hume’s Account of Self-identity: the First-Person and the Third-Person Accounts
양선이 ( Sunny Yang )
근대철학 20권 131-161(31pages)
DOI 10.52677/mph.2022.10.20.131
UCI I410-ECN-151-24-02-088963155

이 논문에서 나는 흄의 『인성론』 제 1권과 제2권에서 인격의 동일성에 관한 설명에 두 기준이 존재함을 보인다. 『인성론』 제 1권에서 흄이 관념연합과 기억에 의해 설명하는 동일성은 ‘1인칭 관점의 동일성 설명’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공적이지 않고 사적이며 심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에 반해 그가 2권에서 말하고 있는 인격의 동일성 기준은 ‘3인칭 관점의 동일성 설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신체적이고 생물학적이며, 심적이며 사회적 특성의 혼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3인칭 관점의 동일성 설명 기준은 공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평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흄의 인격의 동일성 설명에는 이 두 기준이 존재하며 흄은 둘 중 어느 하나를 포기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오히려 두 기준은 철학자의 관점을 취할 때와 상식인의 관점을 취할 때 달라 질 수 있으며 공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논문에서 나는 인격의 동일성과 관련하여 1인칭 관점의 설명과 3인칭 관점의 설명 중 어느 한쪽이 더 근원적이고 우선적이 아니라 서로 상호 보완적이라는 ‘개념적 전체론’을 주장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show that there are two criteria for the account on personal identity in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of Hume’s Treatise. The identity that Hume explains in the first volume of Treatise through the association of ideas and memory can be called ‘the explanation of identity from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and it is not public, but has a privat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on of the personal identity that he shows in the Treatise in the second volume can be said to be ‘identity explanation from the third person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ixture of physical,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raits. Identity explanation from the third-person point of view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publicly accessible and evaluable. These two criteria exist in Hume’s account of personal identity, and Hume did not want to give up either one. Rather, the two standards could be different and coexist when taking a philosopher’s point of view and a commonsense person’s point of view. I would argue that neither the first-person nor the third-person accounts are more fundamental or superior to one another in relation to the personal identity, and I propose a ‘conceptual holism’ that complements each other.

1. 서론
2. 자아에 대한 흄의 설명
3. 흄의 곤경과 [부록]에서의 흄의 불만에 대한 해석들
4. 마음과 몸을 가진 존재로서 ‘나(myself)’
5. 인격 동일성 설명에서 두 기준과 [부록]에서의 흄의 불만의 진정한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