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의 목표는 외적 좋음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관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수행하는 역할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탁월성을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라는 행복 규정과 외적 좋음의 관계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밝히는 것이 핵심적 과제가 된다. 외적 좋음의 지위 그리고 탁월성에 따르는 활동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크게 두 방향의 해석이 존재한다. 이 중 한 해석에 따르면, 외적 좋음의 가치는 그것이 탁월한 활동의 실현을 위한 수단이나 여건을 제공한다는 사실에서 전적으로 유래한다. 외적 좋음은, 따라서, 그 자체가 행복의 구성요소는 아니며, 행복의 실현과 관련해 오직 수단적 가치만을 가진다. 반면 또 다른 한 해석에 따르면, 외적 좋음은 그 자체로 행복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탁월한 활동을 가능케 하는 역할과 구분되는 내재적인 가치를 가진다. 이 글에서는 일단 외적 좋음이 도구적 가치만을 갖는다는 해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파악하고 있는 것이며, 외적 좋음은 탁월한 활동을 가능케 하는 역할과 구분되는 가치 역시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이 글에서 다룰 것은 탁월성을 따르는 활동이 왜 단지 행복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 하나가 아니라 중심적인 요소인가 하는 것이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은 탁월성에 따르는 활동이 행복을 결정한다(kyrios)는 말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 ‘결정함’의 의미를 탐구하면서, 외적 좋음에 관한 논의의 배후에서 그 진행을 이끌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인 관심이 어떤 것인지를 드러낸다.

This article examines Aristotle’s views on the external good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questions of what is the role they play in happiness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activity according to excellence. There are two lines of interpretation on the latter question. According to one interpretation, the external goods contribute to happiness only by way of providing the means to or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activity according to excellence; according to the other interpretation, the external goods are included in the components of happiness and can have intrinsic valu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irst interpretation excessively restricts the role of the external goods in achieving happiness and at least some external goods contribute to happiness in a non-instrumental way. The task for the second interpretation, then, is to explain why activity according to excellence is not just one of many components of happiness but a central, primary, and dominant one. In relation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cept of ‘kyrios. Using this concept as a clue, this article explains why the external goods are only a supporting component of happiness and how Aristotle’s interest in them is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the role of luck in happiness.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글
2. 외적 좋음의 두 종류
3. 외적 좋음과 방해받지 않음
4. ‘결정적임(kyrios)’
5. 운과 탁월성, 그리고 행복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