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45.90
3.147.45.90
close menu
KCI 후보
홉스의 교육철학: 시민교육의 모델 찾기
Hobbes’ Philosophy of Education: Finding Model for Civic Education
김용환 ( Kim¸ Yong-hwan )
근대철학 14권 27-58(32pages)
DOI 10.52677/mph.2019.10.14.27
UCI I410-ECN-151-24-02-088963977

이 글은 홉스의 교육철학에 관한 것이다. 홉스 연구자들이 홉스의 교육철학에 관심을 별로 기울이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홉스를 정치철학자로만 보려는 시각이 오랜 동안 굳어져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홉스의 교육철학에 관한 연구가 국내, 외에 별로 많지 않은 것이 현재의 연구 상황이다. 필자는 홉스의 성장배경을 통해 유년기에 받은 수사학이나 그리스어와 라틴어 같은 고전어 교육이 그의 전 철학체계 안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2절) 그리고 17세기 당시 옥스퍼드 대학에서 받은 교육과정을 통해 홉스가 왜 대학교육의 개혁을 강조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근대과학의 문이 열리고 있는 시기에 스콜라 철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에 홉스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영국 시민전쟁을 경험하며 홉스는 정치적 혼란의 배후 세력에 대학과 교회, 타락한 성직자와 정치가들이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잘못된 교육은 제대로 된 교육을 통해 수정되고 개혁될 수 있다는 홉스의 신념을 구성해 보았다.(3절) 수사학이 홉스의 정치철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수사학에 대한 홉스의 태도가 세 시기에 걸쳐 변화된 것은 스키너나 존스톤의 연구서들을 통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필자는 수사학 교육이 귀족들의 교육과정에서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홉스 자신의 저술 활동에도 평생에 걸쳐 유용하게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했다.(4절) 5절과 6절에서는 정치교육 또는 시민교육의 모델을 홉스가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소위 국민의무교육의 17세기 형태를 홉스의 교육론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홉스의 세 주요 작품(『리바이어던』, 『법의 기초』, 『시민론』)을 통해 홉스가 제안한 시민교육의 주된 내용은 국민의 복종과 정부의 보호라는 관계의 정립이었고, 항구적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이었다. 홉스는 보호와 복종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종교교육, 특히 십계명 교육과 정치교육의 목표가 유사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홉스의 교육철학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묻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고 있다. 사회계약론의 내면화가 한국 사회의 교육, 특히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반영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Hobbes’ philosophy of education. The reason Hobbes researchers don’t pay much attention to Hobbes’ philosophy of education is that it has long been hard to see Hobbes as a political philosopher in general. Hobbes was not primarily regarded as a philosopher of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obbes’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I tried to show that rhetorical skill and classical language abilities such as Greek and Latin that Hobbes learnt in childhood peri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is entire philosophical system (v. 2). We then looked at why Hobbes emphasized the reform of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received at Oxford University in the 17th century. At the opening era of modern science, Hobbes had no choice but to complain about a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old fashioned scholastic philosophy. In his experience of the British Civil War, Hobbes criticizes the universities, churches, fallen clergy and politicians behind the political turmoil. I have constructed Hobbes’ belief that wrong education can be corrected and reformed through proper education (v. 3). It is noteworthy that rhetoric is important in Hobbes’ political philosophy. It is well known in Skinner’s or Johnston’s work that Hobbes’ attitude toward rhetoric changed over three periods. I wanted to show that rhetorical education was not only needed in the young aristocrat’s curriculum, but was also useful throughout his life in Hobbes’ own writings (v. 4). Sections 5 and 6 examined how Hobbes presented a model of political or civic education. The so-called 17th-century form of national compulsory education was found in Hobbes’ theory of education. Through Hobbes’s three major works (“Leviathan”, “The Elements of Law”, “De Cive”), the main content of Hobbes’s civic education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edience of the people and the protection of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as a methodology for maintaining lasting peace. Hobbes points out the similarities between religious education, particularly the Ten Commandments and political educa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 and obedience. In conclusion, I asked what Hobbes’ philosophy of education can mean in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Emphasis is placed on the necessity of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contract theory to be reflected in Korean society’s education, especiall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1. 들어가는 말
2.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유년기 교육의 중요성
3. 대학교육의 빛과 그림자
4. 홉스 철학에서 수사학 교육의 중요성
5. 의무교육으로서의 정치교육과 도덕교육
6. 종교교육을 통한 시민교육
7. 한국교육 상황에서 본 홉스교육철학의 의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