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34.184
18.225.34.184
close menu
흄의 『인성론』의 믿음이론: ‘힘’과 ‘활력’ 개념을 중심으로
Hume’s theory of belief in the Treatise: ‘Force’ and ‘Vivacity’
양선이 ( Sunny Yang )
근대철학 12권 59-82(24pages)
DOI 10.52677/mph.2018.10.12.59
UCI I410-ECN-151-24-02-088963904

이 글의 목적은 흄의 믿음 이론에 있어 ‘힘과 활력’이라는 성질의 본성을 밝히는 것이다. 흄의 철학에서 ‘힘과 활력’은 우선 1) 관념과 인상을 구별하고(T. 2, 19), 2)상상과 기억의 차이를 구별하며(T, 8-9, 85-86), 3) 믿음과 단순한 생각의 차이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T. 96, 153). 이 글에서 나는 흄 철학에서 힘과 활력이라는 말이 다양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1) ‘강도 또는 강렬함’, 2) ‘실재감(verisimilitude)’, 3) ‘반성적인 의식 활동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성질, 4) ‘마음의 다른 상태와 기능적으로 연관된 느낌’등의 의미가 있다. 나는 1)과 2)는 인상과 관념간의 구분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3)과 4)는 믿음과 동일시됨을 보이게 될 것이다. 또한 2), 3), 4)는 일상적 의미가 아니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나는 흄이 사용한 힘과 활력의 다양한 의미에 관한 두 부류의 해석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입장에 따르면, 흄이 힘과 활력 개념을 어떤 기술적(technical) 의미로 사용한 것이 아니므로 우리는 이 개념들을 글자 그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와 같은 입장을 ‘표준적 해석’ 또는 ‘전통적 해석’이라고 부르겠다. 두 번째 해석에 따르면 힘과 활력 개념은 흄이 허용한 것 보다 더 복잡하며 기술적인 의미를 지닌다. 나는 두 번째 해석을 힘과 활력에 관한 흄주의(Humean) 이론이라고 부르겠다. 비록 흄이 힘과 활력 개념에 의존하여 인간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데 있어 어려움에 직면하긴 했지만, 우리가 두 번째 해석을 취하면 흄은 이 개념을 오직 믿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나는 이와 같은 점에서 두 번째 해석에 동조하게 될 것이다.

The main focus on this paper is on the nature of the quality of ‘force and vivacity’. For Hume ‘force and vivacity’ play a primary role in distinguishing (1) impressions from ideas (T 2, 19), (2) memory from imagination, (T 8-9, 85-86), (3) conception from belief (T 96, 153), and presumably, all other states of the understanding and imagination. In attempting to set out these distinctions, Hume uses ‘lively’, ‘strong’, ‘forceful’, ‘vivacious’ ‘solid’, ‘firm’ and ‘steady’. I examine four relatively disparate accounts of force and vivacity: 1) ‘intensity and violence’, 2) ‘verisimilitude or our feeling of reality’, 3) ‘introspectively available features of our conscious activity’, 4) ‘functionally related state’. I argue that 1) and 2) can be applied to the distinction between impressions and ideas, while 3) and 4) can be identified with belief. But 2), 3), 4) have a common ground in that they are not the ordinary sense, but the technical sense of Hume’s use of force and vivacity.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of Hume’s use of these terms. According to the first group, we should try to understand force and vivacity as literal as we can, since Hume does not introduce ‘force’ and ‘vivacity’ as technical terms. I call this the standard view, or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ccepting these constrains, the second group finds a much more sophisticated theory in Hume than he is allowed. I call this Humean ‘force’ and ‘vivacity.’ Although Hume’s appeal to the idea of force and vivacity for explaining the workings of the mind have many difficulties, the second group suggests that we should have a viable reading of Hume’s ‘force and vivacity’ identifying them with belief. To that extent I am sympathetic to this strand. Hence in my defense of Hume in this paper I am mainly concerned with Humean ‘force and vivacity’ that can be identified with belief. However, it seems that the way is open for a disparate account of Hume’s several appeals to force and vivacity.

1. Hume’s Fork: Impressions and Ideas
2. Humean Force and Vivacity: Belief
3.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