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지금까지 헤겔의 『법철학』은 주권 국가 내의 문제들에 한정해서만 주로 다루어져 왔고, ‘국제법’과 ‘국제관계’에 관련해서는 대부분 부정적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국제법’과 ‘국제관계’에 관한 헤겔의 논의는 긍정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헤겔은 『법철학』에서 실정적 조약들과 국제법을 분명하게 구분한다. 둘째, 국제법은 국가 간 인정관계를 전제로 하며 이 인정관계는 ‘보편적 당위의 형식적 측면’과 ‘인륜의 내용적 측면’을 필요로 한다. 셋째, 헤겔은 국제관계를 개별 주권 국가들의 대립적이며 적대적인 관계로만 보지 않고, 인륜의 관점에서 그들의 상호 인정과 연대도 중요하게 고려한다. 이러한 인륜의 측면은 한 국가 내에 제한되지 않는 인류 전체의 다양한 문화, 교육, 도야 등의 차원에서 인륜의 토대를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확대해 나가는 과정을 동반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과정이 칸트식의 ‘세계시민주의’처럼 위로부터 요청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과정에서 아래로부터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Hegel’s Philosophy of Right has been mainly discussed only on matters within sovereign states. It was mostly discussed from a negative perspective regarding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But Hegel’s discussions on them need to be newly understood from a positive perspectiv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key points to be paid careful attention are: First, Hegel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treaties and international law in his Philosophy of Right. Second, international law presupposes the relationship of recognition among sovereign states, and this relationship requires ‘formal aspects of universal oughtness’ and ‘content aspects of ethical life’. Third, Hegel does not regard international relations only as confrontational and hostil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sovereign states, but also considers mutual recognition and solidarity as important rel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ethical life. This aspect of ethical life i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actively forming and expanding consensus in terms of diverse cultures, educations, and cultivations of the entire human race, which are not restricted within a sovereign state.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this process should proceed from below in the historical process, not from above like the Kantian ‘world citizenship’.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외적 국가법과 국제법
3. 국제관계와 인륜
4. 국제관계와 세계시민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105-000053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