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카뮈는 그의 잘 알려진 철학적 에세이『시지프 신화』에서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없다’는 판단 때문에 사람들은 자살한다고 진단하고, 삶의 부조리가 과연 사람들에게 자살을 명하는지 검토하는 것을 이 책의 핵심 과제로 제시한다. 이 주제를 다루면서 카뮈는 인간에게 확실하지 않은 초월적인 것에 의존하여 삶에 의미와 희망을 부여하지 않고도 삶을 살아가는 것이 가능한지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 카뮈는 삶이 무의미하면 할수록 더 잘 살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한정된 시간의 삶 속에서 특정 가치에 매몰되지 않고 가능한 한 가장 많은 것을 경험하고자 하는 열정적인 삶을 이상적인 삶의 모델로 제시한다.
윌리엄 제임스는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라는 논문에서 카뮈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기에 자살을 생각한다고 진단한다. 그런데 제임스는 카뮈처럼 삶의 무의미가 사람들을 자살로 인도한다고 단순하게 말하는 대신, 자살의 원인은 종교적 질병으로서의 염세주의에 있다고 말한다. 필자가 봤을 때, 자살의 원인을 이렇게 설명함으로써 제임스는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답을 추구하면서, 카뮈의 입장과 구별되는 두 가지 독특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첫째, 제임스는 카뮈처럼 삶의 부조리에 맞서는 것을 권하는 것이 아니라 우울증적 심리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삶의 의미를 되찾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제임스는 인생이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기 위해서는 현 세상에서의 고통과 역경을 유의미하게 만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초월적 세계에 대한 종교적 믿음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카뮈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초월적 세계에 대한 믿음은 불확실한 세계에 의존하여 구원을 호소하는 것이지만, 제임스의 경우 이러한 세계에 대한 믿음은 그 믿음을 통해 우리 인생이 더 살 만한 가치가 있게 된다면 정당화될 수 있다.

In his well-known book The Myth of Sisyphus, Albert Camus expresses the view that people die because they judge that life is not worth living, and he takes it as his main task to examine whether the absurdity of life requires one to escape life through suicide. In dealing with this problem, Camus takes special interest in examining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hat man continues his life without trying to find the meaning and hope of life by recourse to the uncertain transcendent world. In this book Camus claims that if life has no meaning, it can be lived better. According to him, the ideal human life is a life with passion, that is, the life in which man makes every effort to have as much experience as he can in the limited period of life.
It is noteworthy that in his essay “Is Life Worth Living?” William James also holds the view that people die because they think that life is not worth living.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stead of simply saying that people decide to die because of the absurdity of life, James explains that the cause of suicide lies in pessimism as a religious disease. In my view, as the result of such a peculiar understanding of the cause of suicide, hi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roblem whether life is worth living is distinguished from Camus’ position in two respects. First, whereas Camus insists that we should face the absurdity of life, James puts an emphasis on finding the meaning of life so that people can get out of the melancholic state of mind. Second, according to him, so that we may not think that life is not worth living, it is necessary that we believe in the unseen transcendent world which would make the hardship and suffering in the present world meaningful. Of course, people might respond from Camus’ perspective that, after all, James is relying on the uncertainty of the transcendent world for human salvation. However, in James’ view, the belief in such a world can be justified if our lives thereby become more worth living.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카뮈의 문제제기: 삶의 부조리와 자살
3. 부조리한 삶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4. 자살의 원인에 대한 제임스의 진단: 종교적 질병으로서의 염세주의
5. 염세주의의 치유를 위한 제임스의 제안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100-000309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