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8.68
3.133.108.68
close menu
KCI 등재
자연법에서 인정법을 이끌어내는 과정 연구 -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w Human Law is derived from Natural Law in Thomas Aquinas’ Theory of Law
임경헌 ( Im Kyunghun )
중세철학 27권 129-174(46pages)
DOI 10.52654/PMA.27.129
UCI I410-ECN-0102-2022-100-001037564

본고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론에서 어떻게 올바른 인정법 혹은 도덕규범들이 자연법으로부터 이끌어져 나오는지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목적과 현명의 역할을 강조하는 ‘덕 중심 해석’과 실천이성에 어떤 도덕성의 원리를 부과하려는 ‘도덕원리 중심 해석’을 비교한다. 본고의 연구에 따르면 토마스에서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혹은 기본선들)은, 그것이 양지에 의해 파악되는 한 선도덕적이지만, 이성에 의해 목적론적으로 반성될 수 있는 한에서 도덕적 성격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도덕적인 자연법에서 올바른 인정법을 구체화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여전히 목적과 현명의 역할이다. 이는 곧 실천이성이 자연법으로부터 올바른 인정법과 구체적인 도덕규범들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연법과 구분된) 도덕성의 제일 원리와 같은 것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러한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본고는 특히 도덕원리 중심 해석의 주요 근거들을 비판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right human laws or moral norms are derived from the natural law in Thomas Aquinas' theory of law. In this process, this paper compares the virtue-centered interpreta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end and prudence, with the moral principle-centered interpretation, which seeks to impose a certain principle of morality on practical reason. According to this study, in Thomas the first principles of natural law(or the basic goods) are pre-moral as far as they are grasped by synderesis, but can have a moral character insofar as they can be teleologically reflected by reason. Therefore, the role of the end and prudence is important to embody the right human law from the already moral natural law. This means that practical reason does not additionally need anything like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to derive the right human law and concrete moral norms from the natural law. In order to justify this claim, this paper especially criticizes some important elements of the moral principle-centered interpreta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