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67.134
18.221.167.134
close menu
KCI 후보
베르그손: 탈-형성의 교육학
Bergson: Pedagogy of De-formation
주재형 ( Jae-hyung Joo )
근대철학 14권 87-115(29pages)
DOI 10.52677/mph.2019.10.14.87
UCI I410-ECN-151-24-02-088963995

베르그손 철학에서 교육의 문제는 겉보기와 달리 매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교육에 관해 그가 남긴 텍스트들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이 텍스트들은 베르그손 철학의 일관된 반영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베르그손 철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탈-형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베르그손의 교육 철학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교육 철학은 인간의 자연적 성향과 문명의 교육을 파괴하고 제거하려 한다는 점에서 탈-형성의 교육학이지만, 이 탈-형성은 부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부정과 파괴는 곧바로 새로운 형성이라는 독특한 논리(‘탈(脫)’을 통한 ‘형성’)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가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지는 베르그손의 고전 교육론, 예술 교육론, 도덕과 민주주의 교육론에서 엿볼 수 있다.

In Bergson’s philosophy, contrary to appearance, the problem of education occupies a central place. A closer look at his texts shows that these texts are not merely a coherent reflection of Bergson’s philosophy, but also contain a new perspective of Bergson’s philosophy. We will examine Bergson’s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de-formation”. His philosophy of education is the pedagogy of de-formation in that it seeks to destroy and eliminate the natural tendencies of man and education of civilization, but this de-formation is not only negative. We can instead find the unique logic that this negation and destruction in themselves are nothing but the new formation (formation through “de-”). How this logic can be embodied can be seen in Bergson’s theory of classical education, art education, and moral and democratic education.

1. 들어가며: 베르그손의 교육학?
2. 양식: 교육의 목표
3. 탈-형성의 원리
4. 교육론 (1): 고전교육
5. 교육론 (2): 예술교육
6. 교육론 (3): 도덕과 민주주의
7. 나가며: 교육과 공동체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