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의지의 양가성 개념을 분석한다. 특히 영미철학계에서 이 개념을 최초로 정립한 프랭크퍼트가 그것을 어떤 식으로 자리매김하는지를 모색한다. 프랭크퍼트는 욕구의 중층 구조를 이론화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욕구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지만 프랭크퍼트는 그것의 매우 특수한 경우도 다룬다. ‘쥐 인간’(rat man)으로 알려진 프로이트의 사례 연구를 모형으로 프랭크퍼트는 양극의 욕구를 가진 자아 분열 상황을 다룬다. 이 글은 두 가지 논의로 구성된다. 논의의 전반부는 프랭크퍼트의 양가가치 개념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양가가치의 부정성이 그 이론내에서 명확히 제시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후반부에서 나는 그것의 부정성을 세 가지 방식으로 해명한다. 이 중 처음의 두 시도는 어떤 측면에서는 세 번째 시도를 위한 준비 작업에 해당한다. 나는 양가가치의 부정성에 대해 인격통합성 개념과 관련해서만 그 의미 파악이 가능함을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통해 프랭크퍼트 이론의 내적 정합성을 공격하기보다는 그의 이론에서 미해결로 남아 있는 부분을 해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ambivalence of will. In particular, I will explore how H. Frankfurt, who is the first to attempt to establish this concept in the Anglo-American philosophical realm, places this concept in his theory. Frankfurt is best known for theorizing the layered structure of desire. Frankfurt attempts a general explanation of the structure, but he also deals with a very special case, modeled on a case study by Sigmeund Freud known as the ‘rat man’. Frankfurt deals with a self-disrupting situation with ambivalence.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discussions. The first half explains how Frankfurt interprets the ambivalence of will. In addition to this explanation, I will reveal the limitations that the negativity of ambivalence within Frankfurt’s theory is not clearly presented.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consists of three ways to seek the negativity of ambivalence. The first two attempts, to a certain degree, can be seen as paving the way for the third attempt. The attempts will show that the negativity of ambivalence can be properly grasped only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integrity. These discussions not only aim to ensure internal consistency within Frankfurt’s theory but also seek to address the unresolved aspects of his theory.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