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번역문학과 관련된 연구의 기본적인 출발점이면서도 종종 간과되었던 ‘번역 계보’ 조사의 중요성과 함의를 재확인하는 데 본 논문의 주안점이 있다. 차후의 심화 연구를 위한 기본 선행 작업이기도 한 본 연구에서는, 서양문학 작품 번역의 초기에 해당하는 1910년대 말과 1920년대 초에 이루어진 몇 편의 프랑스 단편 소설의 ‘번역’ 및 ‘번역 계보’와 관련된 논의를 통해, 이 시기 번역의 현황과 특징, 원작과 번역 사이의 주목할 만한 변용 양상 등을 실증적으로 짚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번역 계보 조사의 필요성을 김소월의 번역을 다룬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통해 다시 확인하였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로는 향후의 연구 과제 소개 차원에서 1920년대 초에 번역되었으나 오늘날까지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모파상과 뒤마의 작품인 「사랑」, 「브랑빌리에 후작 부인」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 서양 문학 번역의 주역 가운데 한 명인 김억의 모파상 작품 「고독」의 번역 및 번역 계보 문제를 세밀하게 검토하였다.
연구자의 주안점은 과거의 번역을 다양한 층위에서, 즉 프랑스어 원문뿐만 아니라 당시의 영역(英譯), 일역(日譯) 등과 유기적으로 비교하는 데 있으며, 실증적인 검토를 통해 당시 번역의 저본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의 연구는 세밀한 ‘번역 계보’ 조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치게 되는 문제들, 즉 당시 번역가의 원작 이해 수준, 번역에서 드러나는 굴절의 이유, 번역의 특징 등을 되짚어봄으로써 번역 문학과 관련된 논의들을 효과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이 ‘원론’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각론’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firm of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 of ‘translation genealogy’ which was often passed over by the studies on the translated literature.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several French short stories translated in the period from late 1910s and early 1920s which was the very beginning of the translation history in Korea. Our basic preliminary examination focuses on the situation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is era and noteworthy change patterns from the original text to the translated ones.
This article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the necessity of ‘translation genealogy’ is confirmed through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about Maupassant’s L’Odyssée d’une fille. Second and Third, to introduce the research question, Amour and La Marquise de Brinvilliers by Dumas and Maupassant will be discussed generally since those two were translated in the early 1920s but didn’t get proper attention. Lastly, Maupassant’s Solitude translated by Kim Eok, who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modern western literature translation, will be closely translated.
The research mainly compares the past translated text with not only the original French text but English translation and Japanese translation of the same period.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find the exact source text of many translated script through corroborative re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tries to add rich discussion on translated literature by retracing the reason of bending the text,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by the translator at that time,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at period, which are inevitably confronted during the course of meticulous ‘translation genealogy’ resear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uld be the first step to lead to more detailed discussions from general ones effectively.

목차

국문 초록
1. 서론
2. ‘번역 계보’ 조사의 필요성 - 김소월의 번역
3. 모파상 단편 「사랑」의 번역 계보에 대한 일고
4. 뒤마 작품의 번역 계보에 대한 일고
5. 김억의 모파상 작품 번역에 대한 일고
6.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01-002049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