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성의 역사 1-앎의 의지』를 푸코의 권력이론의 형성과 권력모델의 변화라는 시각을 통해 검토하고 그 한계와 성과를 짚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앎의 의지』는 푸코의 권력론의 전개에서 중요한 전환을 보여주는 작업이다. 그것은 1970년대 「담론의 질서」 이후 진행된 푸코의 권력 개념의 정점을 나타내면서 70년대 후반에 펼쳐질 그의 권력론을 앞서 선취하고 있다. 1975년 무렵 푸코는 권력 개념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를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당시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와 대담들이 발간되면서 그의 권력론의 전체적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첫째, 권력 개념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푸코는 권력의 장을 국가나 정치구조에서 사회로 이동시킨다. 그는 권력을 소유가 아니라 행사되는 전략으로 이해하고 저항과 권력의 투쟁적 관계를 내재적으로 포함하는 권력관계로 이해할 것을 촉구한다. 이를 좀 더 확장하여 『앎의 의지』는 권력을 사회체 전체로 확산되어 나가는 편재적이고 생산적이며 저항적인 개념으로 확장한다. 둘째 권력의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을 법적 · 이데올로기적 주체로 내세우는 주권권력을 비판하면서 시작하여 유순한 신체들(개인적 신체)을 통제하고 훈육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사회체)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생명권력으로 발전해간다. 이러한 확장과 발전을 집약하는 저작이 앎의 의지이다. 하지만 『앎의 의지』에서 개진된 생명권력은 그 뒤 또 다른 권력 개념으로 발전해간다. 이 논문은 규율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나아가는 푸코의 권력론을 살펴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Foucault’s formation of power theory and transformation of power models in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This book is a work that shows a crucial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Foucault’s power theory. It means the culmination of Foucault’s power concept, which has been going on since “The Order of Discourse” in the 1970s, and anticipates his power theory to be unfolded in the late 70s. As most of his lectures in the Collège de France and talks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the overall outline of his power theory is being revealed. Foucault sought various ways to define the concept of power by 1975. First,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ower, Foucault moves the field of power from the state or political structure to the society. He urges that power be understood as a strategy to be exercised, not possessed, and that power is understood as a power relationship that inherently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and power.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deepens and extends the concept of power as a ubiquitous, productive and resistant concept that is spreading throughout the social body. Second, in terms of the form of power, Foucault’s concept of power begins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sovereign power that defines human beings as legal and ideological subjects and goes, through disciplinary power that trains bodies and makes them docile, into biopower that manages and controls population(social body). The work that displays thi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ower is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This paper examines Foucault’s theory of power from disciplinary power to biopower in detail.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70년대 이후 푸코의 권력 개념의 형성과 진화
3. 규율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4.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01-003122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