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40.178
52.14.240.178
close menu
KCI 후보
시간과 죽음: 들뢰즈의 텅 빈 시간의 형식으로서의 미래의 시간, 그리고 비인칭적 죽음
Time and death: Deleuzian concept of ‘future’ as an empty form of time and impersonal death
김효영 ( Kim Hyoyoung )
근대철학 16권 167-201(35pages)
DOI 10.52677/mph.2020.10.16.167
UCI I410-ECN-151-24-02-088962989

통상 죽음과 결부된 시간은 낫을 들고 쫒아오는 유령으로 그려진다. 이런 맥락에서 시간이란 태어남이라는 기점으로부터 죽음이라는 종점을 향해 쏘아진 화살의 형상을 갖기에, 인간의 유한성은 한층 부각된다. 반면 들뢰즈에게 죽음과 결부된 시간은 전적인 변환의 계기로서 고찰된다. 그에게 시간이란 수동적 자아의 부단한 ‘종합’의 산물이기에 각각의 종합의 단계들마다 우리에게 상이한 계기들을 제공하고 그 세 번째 국면에 이르러 시간은 개체가 나와 자아의 죽음을 경험하는 가장 급진적인 변화의 형식으로 기능한다. 세번째 종합에 상응하는 어떤 죽음의 체험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시간의 종합 속에서 한 개체를 이전과는 전혀 다른 개체로 변화·생성시키는 사건을 들뢰즈는 ‘비인칭적 죽음’이라고 명명한다. 이로써 들뢰즈는 역설적이게도, 삶 속에서의 죽음, 즉 삶 속에 현전화된 개체의 역동적인 발생운동을 죽음이라는 말로 명명한다.

A grim reaper (chasing after someone) with his scythe is a common image often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time regarding death. Time, in such context, is well illustrated as a linear movement of a flying arrow targeting death. It’s Deleuzian counterpart, however, shows a novel manner describing it as divergent momenta which induces generic transformation. For Deleuze, time means a byproduct of syntheses of time constructed by passive self and each temporal synthesis bears divergent possibilities.The third synthesis of time functions as the most radical form of transformation enabling an individual to experience the death of I, which means ego within. It is the third synthesis that an experience of death corresponds to. Deleuze defines the term impersonal death to delineate a morphogenetic event found in the synthesis of time, that converts one entity into a completely new one. It being ironic, hence death in life rather implies a dynamic movement of genesis unfolded in life.

1. 들어가며
2. 들뢰즈의 종합으로서의 시간
3. 첫 번째 시간의 종합: 살아있는 현재(하비투스)
4. 두 번째 시간의 종합: 순수 과거(에로스와 므네모시네)
5. 세 번째 시간의 종합: 텅 빈 순수한 형식(타나토스)
6. 비인칭적 죽음과 미래의 시간
7.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