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서양의 경우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에서는 서양에서의 일기 연구의 이론, 방법, 실제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일기는 형식과 내용 모두가 자유롭다는 점에서 하나의 독자적 장르를 이룬다. 일기는 고대 칼데아와 이집트 등에서 상업과 행정의 필요에 의해 일종의 비망록 형식으로 ‘발명’되었고, 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를 거쳐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가계일기로 이어졌다. 17세기 후반에는 영적 자아를 성찰하는 퓨리턴 일기가 나타났고, 18세기 말에는 현대적 개인 일기의 중요한 특징인 세속적 자아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증대된다. 일기 연구에서 중요한 논쟁 중 하나는 작가의 ‘자아’가 본질적으로 단일하고 독립적인 실체인지 혹은 역사적 문화적 구성물인지에 대한 것이다. 포스트모던주의자들은 후자를 선택한다. 반면 폴 리쾨르는 ‘이야기하는 자아’와 ‘이야기되는 자아’를 구분함으로써 ‘서사적 정체성’의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는 특히 홀로코스트의 트라우마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그린블랫의 ‘자기 만들기’ 개념은 새로운 자아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데, 미시사적 접근은 특이하거나 반복적 일상을 담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essay is aimed at introducing briefly the theory, method, and practice of diary studies in Western culture. The diary or journal itself is a unique genre of which form and contents are all free. It seems to have been ‘invented’ for the commercial and administrative needs in the ancient worlds like Chaldea and Egypt. Its more original form might be a kind of m emorandum which was basically succeeded through the ancient Greek ephēmeris and Roman diarium to the Italian libro di famiglia in the Renaissance. By the late seventeenth-century in England, the Puritan journal reflecting on his or her spiritual self appeared, and after late eighteenth-century the European expressed much more interest in the secular self which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private diary. One of the seminal debates in contemporary diary studies concerns whether the ‘self’ of each author is essentially a single and independent substance, or only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struct as the Post-modernists insist on. By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narrating self’ and ‘narrated self’, Paul Ricoeur suggests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which seems particularly useful for analyzing the traumatic selves during the Holocaust. The ‘self-fashioning’ by Stephen Greenblatt is of use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newly awaken and adapted self, and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microhistory could be applied to the various cases of both exceptional events and repeated daily lives.

목차

국문초록
1. 일기란 무엇인가
2. 일기의 발명과 역사적 변천
3. 자아, 내러티브, 일기
4. 일기와 미시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01-003122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