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불교의 모든 경전의 분류는 십이부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문학적 표현 방법이다. 「이세간품」의 교설은 모두 문학적 갈래에 속한다는 것을 전제로, 제Ⅱ장에서는 12분교와 문학과의 연관성을, 제Ⅲ장은 「이세간품」에 보이는 12분교의 문학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를 도출해보면 첫째, 십이분교는 십이부경, 십이분성교, 십이분경이라 이명하며, 서술형식 등에 따라 삼장의 불교 경전을 12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불교의 총칭이다. 십이분교는 수다라․기야․수기․가타 ․우타나․인연․비유․본사․본생․방광․미증유법․ 논의가 있다. 둘째, 십이분교의 정의에 대한 언급은 부처님의 원음이라 할 수 있는 초기경전인 잡아함경·부파불교·초기 대승경전인 화엄경의 「십무진장품」등까지 전승된 교설로 모든 불교경전의 교설에까지 상용된 경전서술의 표현방법이다. 셋째, 문학과 십이분교의 절점은 일상적인 문학적 표현방법을 불교에선 12가지 항목의 갈래로 조금 더 세분화했다. 문학이 우리 삶에 대한 표현이라면, 불교교설 또한 우리 삶에 대한 내용을 본질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상통한다. 12분교는 불교의 심오한 교설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표현방법론으로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십이분교는 문학과 깊은 접점 관계에 있다. 넷째, 「이세간품」에는 12분교 전체 항목이 드러나진 않고,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십이분교는 9종류로 ①수다라②응송③수기④풍송⑤자설 ⑥비유⑦본생⑧방광⑨미증유법이다. 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수다라와 운문, 풍송이다. 다섯째, 화엄수행 단계인 52계위 등에서 주로 사용된 수사법은 철학적 의미와 언어형식인 은유적 표현과 비유와 강조법 등이 혼용되었다. 이러한 수사적 표현을 통해본 「이세간품」의 핵심은 보살도의 실천을 총괄함에 있다. 이것이 보혜의 물음에 보현이 2천 가지로 대답한 요지이며, 이것은 곧 12분교가 화엄수행의 52계위 함의를 발현한 맑고 강직한 마음을 상징적으로 금강보주와 바다 등의 문학에 비유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All the scriptures of Buddhism consist of sibibugyeong (十二部經), and this is the method of literary expression we refer to these days. 「Yiseganpum」, too, follows the 12 forms of description plainly as they are, and to 200 questions from Bohye Bodhisattva, Samantabhadra Bodhisattva gives total 2,000 answers, 10 for each question. The point is that it is the comprehensive preaching of Bodhisattva’s deeds embracing all the statuses about sipsin, sipju, siphaeng, siphoehyang, sipji, myogak, and so on. Assuming that such preaching belongs to the category of literature, first, in Chapter Ⅱ, correlation between sibibungyo and literature is investigated, and in Chapter Ⅲ,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sibibungyo found in 「Yiseganpum」are analyzed. The findings drawn are written below: First, sibibungyo is also called as sibibugyeong, sibibunseonggyo, or sibibungyeong, and it is the classification of Tripitaka (三藏) Buddhist scriptures into12 items according to the forms of description or such and refers generically to Buddhism. Sibibungyo includes sūtra, geya (eungsong), vyakarana (gibyeol), gāthā (pungsong), udāna (jaseol), nidāna (inyeon), avadāna (biyu), tivṣṭaka (bonsa), jataka (bonsaeng), vaipulya (banggwang), adbhuta-dharma (mijeungyubeop), and uapdeśa (nonui). Second, the mentioning of definition on sibibungyo has been transmitted and preached from 『Jabahapgyeong』, the early scripture regarded as the original sound of Buddha, as its start up to the sūtras of Early Buddhist Schools and also 「Sipmujinjangpum」in 『The Avatamska Sūtra』, one of the initial Mahayana Sūtras. Therefore, we can see that sibibungyo i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description commonly adopted in all the Buddhist scriptures even for preaching as well. Third, the joint between literature and sibibungyo is in that the usual method of literary expression is a bit more segmented in Buddhism into 12 different items.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our lives, and the preaching of Buddhism is similar to it in that it takes the contents of our lives as the essence. Sibibungyo is used as the methodology of expression to allow us to understand the profound teachings of Buddhism a little more easi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ibibungyo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terature. Fourth, all the items of sibibungyo are not exposed in 「Yiseganpum」, and sibibungyo concretely found are 9 types: ① sūtra, ② eungsong, ③vyākarana, ④ pungsong, ⑤ jaseol, ⑥ biyu, ⑦ bonsaeng, ⑧ bangwang, and ⑨ mijeungyubeop. The types most often adopted in the pum are sūtra, unmun, and pungsong. Fifth, the rhetoric mainly used in the 52 steps of Avatamska cultivation or such is the mixed use of philosophical meanings and language forms, for instance, metaphoric expressions, figures of speech, or emphasis. The key point of 「Yiseganpum」 intended to be revealed through those rhetorical expressions is to generalize the practice of Bodhisattva. This is the gist of Samantabhadra Bodhisattva’s 2,000 answers to Bohye Bodhisattva’s questions, and it directly tells us that sibibungyo lies in ‘pure mind’ that expresses the implications of 52 steps of Avatamska cultivation. We can glance at this from the pum which compares the mind that is clear and upright to Geumgangboju or the ocean symbolically as in literature.

목차

한글 요약
1. 서론
Ⅱ. 12분교와 문학과의 연관성
Ⅲ. 「이세간품」에 보이는 12분교의 문학적 특징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105-002135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