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11.116
13.58.111.116
close menu
KCI 등재
외로움과 정치 혐오 - 한나 아렌트의 고독과 외로움의 의미 변화에 기초하여
Loneliness and political hatred - Based on H. Arendt’s solitude and the change in meaning of loneliness
이정은 ( Lee Jeong Eun )
시대와 철학 35권 1호 91-126(36pages)
DOI 10.32432/KOPHIL.35.1.3

스마트폰 중독과 1인 가구로 예시하는 외로움과 거기에서 파생하는 사회적 위기들이 21세기의 시대 문제로 확산하고 있다. 현대판 외로움의 의미와 양태는 어느 시대나 출현했던 것은 아니고, 근대 이후에 특히 19세기를 거치면서 형성된 역사적 산물이다. 게다가 오늘날의 외로움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파장에 그치지 않고 정치 혐오와 사회에 대한 분노로까지 전이되고 확장하면서 정치 지형을 극우화하는 위기를 낳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외로움의 의미가 일률적이지 않았다는 전제 아래, 한나 아렌트의 고독과 외로움을 비교하면서 외로움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그리고 21세기 외로움을 낳는 변수는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에는 사람들이 지금까지 누렸던 사회적 지위와 자기 존중감을 상실하게 하는 실존적 상황을 분석하면서 외로움과 정치 혐오가 연결되는 사회신경과학적 기전을 개인적 차원에서 탐구한다.

Smartphone addiction, loneliness exemplified by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 crises derived from them are spreading to the problems of the 21st century. The modern meaning and pattern of loneliness did not appear in any era, but it was a historical product that had been formed since the modern era, especially through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today’s loneliness does not remain in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but extends and spreads to political hatred and anger against society, creating a crisis that makes the political landscape far-right. Therefore, under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loneliness was not uniform, this paper compares Hannah Arendt’s loneliness and solitude, examines how the meaning of loneliness has changed, and what variables give rise to loneliness in the 21st century. Finally, this paper studies the social neuroscientific mechanism connecting loneliness and political hatred at a personal level, analyzing the existential situation that causes people to lose their self-esteem, respect and social status that they have maintained so far.

1. 서론
2. 사유의 실존적 상태로서 ‘고독’
3. 외로움과 고독의 분기점
4. 외로움의 변천사
5. 현대적 외로움과 정치 혐오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