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11.72
3.143.111.72
close menu
KCI 등재
탈자(脫自, Ekstase) -도덕적 악의 가능성 해명을 위한 토대 개념
Ecstacy: A Fundamental Concept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Moral Evil
이정환 ( Lee Joung-hwan )
철학연구 66권 1-48(48pages)
DOI 10.26839/PS66.1
UCI I410-ECN-0102-2023-100-000905607

본 논문은, 셸링이 『에얼랑엔 강의』(1821)에서 제시한 자유 개념인 “탈자”(脫自, Ekstase)가, 칸트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도덕적악의 가능성 해명이라는 서양 근대 자유 담론에서 갖는 문제사적 의미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칸트는 「근본악」(1792)에서 도덕적 악의 가능성을 해명하기 위해, 실천이성과 또 다른 절대적 자발성인 “선택의지의 자유”(Freiheit der Willkür)를 제시한다. 하지만 선택의지의 자발성이 실천이성의 그것과 어떻게 관계하는지의 물음은 「근본악」에서 해명되지 않은 채 과제로 남겨진다.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1809)은, 칸트의 선택의지 개념으로부터 불거진 이상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도덕적 악의 가능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기획된 저작이었다. 특히 실천이성의 자발성과 구분되는 선택의지의 자발성을 해명하기 위해 셸링은 자유의 내적 이원성, 즉 “보편의지와 개별의지의 구분”이라는 새로운 착상을 제시한다. 이 착상을 통해 셸링은, 보편의지, 즉 이성과 구분되는 개별의지가 이성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정신으로 드높임을 통해 이르게 되는 자유가 선택의지의 자발성이며, 도덕적 악이란 보편의지를 내면화한 개별의지가 수행하는 반이성적 결단임을 밝힌다. 하지만 자유의 내적 구분이라는 셸링의 새로운 착상은 당장 ‘일체의 차이, 구분으로부터 절대적으로 벗어나 있음’이라는 자유의 일반적인 본질과 어떻게 양립 가능한가의 문제를 해명의 과제로 남기게 된다. 본 논문은, 셸링이 『인간 자유의 본질』이 남긴 과제를 해명하기 위한 중요한 실마리를 그 자신의 또 다른 저작인 『에얼랑엔 강의』에서 찾고자 시도한다. 지금까지 크게 주목되지 않은 이 강의록에서 셸링이 새롭게 펼쳐낸 자유 개념인 탈자는, 자유의 내적 이원성을 자유라는 사태 자체로부터 해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악의 가능성 해명을 완성할 중요한 실마리를 제시하고 있음을 본 논문은 밝히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ecstacy”, a concept of freedom proposed by Schelling in Erlangen Lectures (1821), in an attempt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moral evil that was started in Kant’s essay in 1792, The Bad Principle Existing Alongside the Good i.e. The Radical Evil in Human Nature(= The Radical Evil). In order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moral evil in The Radical Evil, Kant presents free will, an another absolute spontaneity that is distinct from practical reason. However, the question of how the spontaneity of free will relates to that of practical reason is left unexplained in The Radical Evil. Schelling’s essay in 1792,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Essence Of Human Freedom is a work designed to justify the possibility of moral evil by solving the problem raised by Kant’s concept of free will. In particular, in order to elucidate the spontaneity of the free will, which is distinct from the spontaneity of practical reason, Schelling proposes a new idea of the inner duality of freedom, that i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niversal will” and the “particular will”. However, Schelling’s new conception of the inner duality of freedom immediately raises the question of how it is compatible with the general nature of freedom of absolute indifference. This thesis attempts to find an important clue for elucidating the problem left by Schelling’s work in 1809 in his another work Erlangen Lectures (1821).

Ⅰ. 들어가는 말
Ⅱ. 도덕적 악의 해명 시도와 문제: 칸트의 「근본악」과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을 중심으로
Ⅲ. 『에얼랑엔 강의』의 해명: 자유의 내적 구분을 자유의 본질로부터 해명하려는 시도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