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2.221
3.144.12.221
close menu
KCI 등재
칸트의 “자연미에 대한 직접적 관심”에서 ‘직접적(unmittelbar)’의 의미
Die Bedeutung des Begriffs von “unmittelbar” in der Formulierung: “ein unmittelbares Interesse an der Schönheit der Natur” bei Kant
이혜진 ( Hye Jin Lee )
철학연구 65권 1-33(33pages)
DOI 10.26839/PS65.1
UCI I410-ECN-0102-2023-100-000620090

본 논문은 『판단력 비판』 42절에 나오는 “자연미에 대한 직접적 관심”이라는 칸트의 표현에서 “직접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해명한다. 이 직접성은 『판단력 비판』내에서 취미판단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미감적 차원의 직접성과 이 직접적 관심의 직접성과는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이 이 ‘직접적’의 의미를 해명하기 전에 수행하는 것은, 이 직접적 관심이 순수한 취미판단과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간접적 결합의 바탕에 최고선 개념이 놓여 있음을 밝히는 일이다. 이어서 칸트의 앞선 저작들에서 미감적이 아닌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에서 ‘직접적’이라는 개념이 쓰일 때 이는 ‘인식능력에 대해 내적인’이라는 뜻으로, 특별히 실천이성의 직접적 관심과 관련해서는 ‘우리의 본래적인 자기에게서 나온 것에 대한 관심’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 그것을 ‘자연미에 대한 이성의 직접적 관심’에 적용한다. 그리하여 “자연미에 대한 직접적 관심”은 ‘객관(자연) 안에서 이성의 본래적 자기의 모습을 발견하는 관심’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Der vorliegende Aufsatz zielt darauf ab, den Begriff von „unmittelbar “in Kants Formulierung in § 42 der Kritik der Urteilskraft: „ein unmittelbares Interesse an der Schönheit der Natur “zu klären. Davor sollte darauf hingewiesen werden, dass sich diese Unmittelbarkeit von der Unmittelbarkeit des Wohlgefallens bei einem Geschmacksurteils unterscheidet. Die Diskussion besteht aus zwei Teilen. Im ersten Teil wird untersucht, dass das unmittelbares Interesse mit einem reinen Geschmacksurteil „indirekt “verbunden wird und dieser indirekten Verbindung liegt der Begriff des höchsten Guten zugrunde. Im zweiten Teil wird eine Interpretation aufgrund Kants Verwendungen des Begriffs von „unmittelbar “in anderen Werken versucht, dass man unter einem unmittelbaren und intellektuellen Interesse das Interesse an etwas „aus unserem eigentlichen Selbst Entsprungen “verstehen kann. Schließlich kann man sagen, dass „ein unmittelbares Interesse an der Schönheit der Natur “das Interesse der Vernunft an der Feststellung des eigentlichen Selbst in einem Objekt (Natur) bedeutet.

Ⅰ. 서론: 문제 상황과 과제 설정
Ⅱ. 실천이성의 필요를 매개로 한 ‘간접적’ 결합
Ⅲ. 자연미에 대한 이성의 ‘직접적’ 관심
Ⅳ. 결론: 연구 결과 요약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