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38.30
3.138.138.30
close menu
KCI 등재
낭만주의의 인간적 도야 - F. Schlegel의 철학적 양가성 -
Human culture(Bildung) in Romanticism - F. Schlegel’s Philosophical Ambivalence -
이정은 ( Lee Jeong-eun )
시대와 철학 31권 1호 209-246(38pages)
DOI 10.32432/KOPHIL.31.1.7
UCI I410-ECN-0102-2021-100-000990377

이 글은 초기 낭만주의가 사회 변혁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가능성을 지닌다는 점을 주장하기 위해,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의 의미를 설명하고, 인간적 교양, 도야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지를 탐구한다. 슐레겔에게 낭만주의적 교양의 범례는 철학자가 아니라 미적 인간, 즉 시문학적 예술가다. 그는 범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예술가적 연대를 이루는 중보자 개념을 도입한다. 그래서 그의 낭만주의는 엘리트주의적 측면이 강하다는 혐의를 받게 된다. 이 글은, 슐레겔에게 영향을 준 철학사적 토대를 활용하면서, 그의 주장에 나타나는 엘리트주의적 요소와, 그것과 대립하는 이율배반적 요소들을 동시에 제시한다. 이것을 통해 슐레겔의 낭만주의는 정신문화적 차원에서 사회 변혁을 위한 원동력을 지닌다는 점을 논증한다.

This essay traces the meaning of Friedrich Schlegel’s Romanticism to argue that early romanticism has the theoretical potential to back up social transformation, and seeks after the direction in which individual Bildung(human culturalization and character building) moves forward. For Schlegel, an example(legend) of romantic Bildung is not a philosopher, but an aesthetic human, or a poetic artist. To explain the role of exampe(legend),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mediator forming an artistic solidarity. So his romanticism has been accused of having a strong elite element. This essay presents not only the elitist elements that appear in his arguments but also the antinomic arguments against former arguments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influenced Schlegel. That proves that Schlegel’s romanticism has the driving force for social transformation on the spiritual and cultural level.

1. 서론
2. 낭만주의란 무엇인가?: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입장
3. 낭만주의적 도야: 계몽과의 차이
4. 도야의 중재자: 스피노자의 인류라는 개체
5. 예술가적 도야의 방법: 가르침이 아니라 깨우침
6. 범인들의 도야L: 모방
7. 도야를 위한 공동철학: 엘리트주의인가?
8.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