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89.34
18.227.89.34
close menu
KCI 등재
쾌락과 필연성 또는 주관정신에서 객관정신으로
Pleasure and Necessity or from the Subjective Spirit to the Objective
이석배 ( Lee Seok Bae )
철학연구 61권 161-190(30pages)
DOI 10.26839/PS61.6
UCI I410-ECN-0102-2021-100-000907516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V. 이성의 확신과 진리」 중 「B. 자기자신에 의한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실현」의 「a. 쾌락과 필연성」은 쾌락주의적인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이라고 해석되어 왔다. 본 논문은 텍스트의 순서에 따른 세밀한 주석의 형식을 띠고 새로운 해석을 모색하며 다음 세 가지의 주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헤겔은 행위의 구조에 대한 탐구를 문제로 설정했고, 이런 구도에서 자연적 충동으로부터 행위 가 일어나며, 쾌락은 행위의 실현에 따르는 감정이고, 이 관점이 『엔찌 클로페디』에서 「주관정신」의 충동에 대한 논의까지 이어진다. 둘째, 욕 망이라는 주관정신의 한 계기는 주관성 그 자체로서 행위를 야기하지 못하고, 보편적 정신 또는 인륜성 안에서, 그리고 이것의 규정성 안에서 만 행위가 가능하다. 이 입장 또한 헤겔의 『엔찌클로페디』까지 지속된다. 셋째, 필연성이란 의식의 다음 단계인 「b. 마음의 법칙과 자만의 망상」으로의 이행을 위한 장치이다.

The 「a. Pleasure and Necessity」 of 「B. The actualization of rational self-consciousness through its own activity」 of 「V. The Certainty and Truth of Reason」 in Hege’s Phenomenology of Spirit has been interpreted as a critique of the hedonistic individualism. Inquiring a new way of interpretation, this essay makes three arguments in the form of commentary on the text. First, Hegel sets the theme as the investigation on the structure of action, in which a action takes place by the natural drive, and pleasure is the emotion, which is brought by the realization of the action. This perspective continues to his Encyclopaedia, in the 「subjective spirit」 of which the drive is discussed. Second, the desire, a moment of the subjective spirit, itself can bring about an action, but the action takes place and is determined within the spirit or the ethical life. This point lasts also to his Encyclopaedia. Third, the necessity is the installation for the transition to the nex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sciousness, 「b. The law of the heart and the frenzy of self-conceit」.

Ⅰ. 서론
Ⅱ. 문제의 제기
Ⅲ. 쾌락 또는 자연성
Ⅳ. 객관정신으로의 지양
Ⅴ. 필연성으로의 이행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