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탐구』의 비트겐슈타인에 있어서 언어의 진정한 의미는 다양한 맥락과 상황에 따라 그것이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게임 속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언어사용에 대한 정당화는 언어 사용자가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일치해서 규칙에 따라 사용할 때 획득되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 사용자가 임의적이고 사적인 방식으로 규칙에 따라서 자신의 사적이며 내적인 감각을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논의가 이른바‘사적 언어논증’이다.
데카르트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은 사적 언어의 가능성을 주장해 왔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사적 언어논증’을 통해 사적 언어 그 자체로는 어떠한 의미도 가질 수 없으며, 내적인 감각을 지시하는 언어(감각 언어)는 공적인 사용을 위한 훈련과 학습을 통해 실천의 맥락으로 들어올 때 하나의 언어게임으로 가능할 수 있고, 유의미하게 의사소통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true meaning of language in later Wittgenstein’s philosophy is revealed in a variety of language games in which it is used according to different contexts and situations. And the justification for the use of language is obtained when one use a language in accordance with rules, in conformity with the community members.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language user to describe his own private and inner sensation with a any arbitrary and private rules. This Wittgenstein’s discussion of inner sensations is so-called ‘private language argument’.
Since Descartes, many philosophers have argued the possibility of private language. However, through private language argument, Wittgenstein argued that private language itself can not have any meaning, and showed that the language indicating one’s inner sensations, sensation language, can function as a language game when it comes in the context of practice through learning.

목차

【한글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내적 감각과 사적 언어
Ⅲ. 내적 감각의 지시 문제
Ⅳ. 감각 언어의 학습과 사용, 그리고 규칙
Ⅴ. 사용의 정당화 기준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