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예술의 종말’(the End of Art)과 관련된 논의에서 우리가 빠트려서는 안 되는 또 한 사람의 철학자가 있다. 그가 바로 발터 벤야민(W. Benjamin)이다. 헤겔과 단토와 마찬가지로 벤야민 역시 예술의 역사성에 주목한다. 벤야민에 따르면 예술에 대한 정의와 기능은 역사적 조건에 의존한다.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벤야민은 예술을 토대, 즉 당대의 기술수준의 반영물로 이해한다. 따라서 농업기반 수공업사회의 예술과 기술집약적 산업사회의 예술에 대한 정의와 역할은 다를 수밖에 없다. 벤야민은 전통적 예술과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을 구분하는 개념으로 ‘아우라’(Aura) 개념을 제시한다.
아우라는 전통적 예술작품의 물질적 조건인 진품성, 원본성 그리고 일회성에서 비롯된다. 아우라에 근거한 예술작품은 복제품과 물질적으로 구별된다. 그러므로 예술작품은 고귀한 것이고 숭배되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사진의 등장으로 대상에 대한 기술적 복제가 가능하게 되었고, 복제와 원본의 차이를 묻는 것은 무의한 것이 되었다. 사진과 영화로 대표되는 기술적 복제 예술은 인간의 감각을 재편하여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예술과 예술작품에 대한 정의와 역할을 급진적으로 재규정한다. 벤야민은 기술적 복제 시대와 더불어 예술작품의 아우라는 종말을 고할 것으로 확신한다. 본 논문은 벤야민의 예술의 종말론을 매체철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평가할 것이다.

There is another philosopher we must not leave out in the discussion of the End of Art. He is Walter Benjamin. Like Hegel and Danto, Benjamin also pays attention to the historicity of art. According to Benjamin,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art depend on historical conditions. As a Marxist, Benjamin understood art as a foundation, a reflection of the technological level of the time. Therefore, the definition and role of art in an agricultural-based craft society and art in a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society are inevitably different. Benjamin suggests the concept of "Aura" as a concept that distinguishes between traditional art and art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Aura comes from the material conditions of a traditional work of art: authenticity, originality, and uniqueness. A work of art based on aura is materially distinct from reproduction. Therefore, works of art were regarded as noble and worshiped. However, with the advent of photography in the late 19th century, technical reproduction of the objects became possible, and it became meaningless to ask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roduction and the original. Technological reproduction, represented by photography and film, not only reshapes the human senses, enabling a new understanding of time and space, but also radically redefines the definition and role of art and works of art. Benjamin convinces that with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aura of works of art will come to an end. This paper will examine and evaluate Benjamin"s end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philosophy.

목차

한글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매체와 예술
Ⅲ. 예술작품과 아우라
Ⅳ. 아우라의 종말과 기술적 복제의 예술
Ⅴ. 맺으며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105-002135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