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천 개의 고원』의 서문인 「리좀」을 바탕으로 하여, 리좀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개념 중의 하나인 ‘미리우(milieu)’를 ‘리좀적 중도’이자 일종의 ‘철학적 중도’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의 구체적인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텍스트에서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나무-뿌리 형태의 책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리좀-수로 형태, ‘책-리좀’의 사유 체계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리좀적 사유가 어떻게 ‘길’이 되고, 동양적 ‘도(Tao, 道)’와 만나 리좀적 중도가 되며 철학적 중도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밝힌다. 다른 한편으로, 본고는 리좀적 사유가 우리로 하여금 내재적 차이와 타자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이 하도록 하며, 또한 공(空)한 다양체의 원리에 따른 실천적 삶의 수행을 돕는 방법으로서의 의의를 가짐을 조명한다. 이 연구는 동양의 중도의 사유를 현시대에 적합하게 풀어내어 철학적으로 실천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tte étude se propose d’éclaircir le ‘milieu’ chez Deleize, qui est un concept primordial pour comprendre le rhizome, comme milieu rhizomatique, une sorte de milieu philosophique, sur la base de ‘rhizome’, l’introduction de Mille plateuaux.
Au long de cette étude, nous envisageons d’abord le système du ‘livre-rhizome’, type du rhizome-canal dans le ‘rhizome’, qui a remplacé celui-là de l’arbre-racine dans la métaphysique occidentale traditionnelle. Ensuite, nous montrons comment la pensée-en-rhizome devient une voie, se métamorphose en milieu rhizomatique, et peut être comprise comme milieu philosophique par la rencontre avec le Tao en Orient. Par ailleurs, cette étude révèle le fait que la pensée-en-rhizome est une méthode adéquate à comprendre mieux la Différence et l’Autre immanents, et à renforcer de pratiquer les principes de la mutiplcité vides(空). De sorte que les effets de cette étude aideront à pratiquer philosophiquement et convenablement la pensée du Milieu en Orient à nos jours, même s’ils sont insuffisants.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비)-논리 또는 잊힌 논리
3. ‘잡초-리좀’의 공한 내재성
4. 다양체로서 책-리좀의 길
5. 리좀: 내재적 과정의 길
6. 리좀의 길 = 도(Tao, 道) ?
7. 리좀적 중도, 철학적 중도 그리고 내재적 중도
8.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100-00092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