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Philosophical Applications of the Concept of Construal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에서 본인은 construal 이라는 상식적인 심리학적 개념에 대한 철학적 활용에 관하여 예시하고자 한다. Construal 이라는 것은 하나가 다른면에서 경험되어지는 심리적 상태이다.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적 활용으로는 이해관계에 근거한 construal로써 정서에 관한 Robert C. Roberts의 이론이여왔다. 하지만 본인은 이 개념은 아카라시아나 자기통찰 그리고 도교적 사고를 포함하는 몇 가지 다른 영역에서도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가 이처럼 과소평가되는 개념에 대한 철학적 탐색이 더 이루어 질수 있는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I illustrate philosophical applications of the commonsense psychological concept of construal. A construal is a mental state in which one thing is grasped in terms of another. Its most influential application in philosophy has been in Robert C. Roberts’ account of emotion as concernbased construal. But, as I argue, the concept also has application in several other areas, including akrasia, selfinsight, and aspects of Taoist thought. Overall, this paper is intended as a stimulus to further philosophical exploration of this underappreciated concept.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What is Construal?
3. Emotions as Construals
4. The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Construal and Belief
5. Construal and Akrasia
6. Construal and SelfInsight
7. Taoism and Construal
8.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5-00340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