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M.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
M.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동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대동철학 바로가기
  • 통권
    제101집 (2022.12)바로가기
  • 페이지
    pp.117-141
  • 저자
    배상식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416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of M. Merleau-Ponty, a leading French philosopher in the 20th century. As in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y, Merleau-Pont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clarify the language problem from the ‘perception’ of the body, rather than simply developing it in human reason or mind. So, he asserted that all expressive actions including ‘language (speech)’ are based on the expressive function of the body, and argued that language expression by the body itself creates some kind of ‘meaning’. In other words, for him, ‘language’ is not simply a sign for conveying pre-determined thoughts or concepts, but a lively physical expression that contains primitive meanings.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order to explain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First, we examined the positions of empiricism and intellectualism and their linguistic views, which i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how Merleau-Ponty overca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linguistic views. Next, in order to clarify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s in detail, first, we examine the conceptual explanation of the bo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dy and perception in Merleau-Ponty,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body ‘perception’ and the body. The concept of ‘language’, which is an expression activity, was examined. And I tried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hi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language and what the original word (Parole) is. Finally, this discussion was concluded by briefly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한국어
이 논문은 20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철학자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현 상학적 언어론에 대해 해명해 보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메를로- 퐁티는 서구 전통철학에서처럼, 언어 문제를 단순히 인간의 이성이나 정신에서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지각’으로부터 해명해 보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래 서 그는 ‘언어(말)’를 포함한 모든 표현 작용이 신체의 표현적 기능에 근거함을 주장하면 서, 신체에 의한 언어표현은 그 자체가 모종의 ‘의미’를 생성한다고 주장하였다. 말하자면 그에게 있어서 ‘언어’란 단지 이미 결정된 사유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기호가 아니라 원 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생동적인 신체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을 해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 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의 입장과 그들의 언어관에 대해 살펴보았 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언어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메를로-퐁티가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예비적 고찰인 셈이다. 이어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을 구체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우선,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신체에 대한 개념적 설명과 이러한 신체와 지각 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또한 이러한 그의 신체 ‘지각’과 신체(몸)의 표현활동인 ‘언어’개 념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그가 주장하는 언어의 의미와 원초적인 말(파롤)이 무엇인지에 대해 해명해 봄으로써, 그가 주장하는 현상학적 언어론의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메를로-퐁티가 주장하는 현상학적 언어론의 기본내용을 간략히 정리 하면서 본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경험주의와 주지주의 언어관에 대한 비판
3.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
1) 신체와 지각
2) 지각과 신체 표현으로서의 언어
3) 언어의 의미와 원초적인 말(파롤)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배상식 [ Bae, Sang-Sik |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동철학회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 설립연도
    1998
  • 분야
    인문학>철학
  • 소개
    오늘날 우리 한국 사회가 처해 있는 국내외적인 많은 어려움 속에서 한국의 철학계가 이제는 자신의 존재 이유를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 보고 새로운 방향을 추구해 나아가야만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들이 더욱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되돌아 보건대 지난 수십년간 우리 철학인들의 노력으로 많은 발전이 이어져 오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한국의 철학계는 일제가 남기고 간 뿌리 깊은 구조적 왜곡의 도식적 틀로 부터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근래에 진행되고 있는 철학 활동들의 상당한 부분이 외국 철학계의 축소판적 모방 내지는 반복에 그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현실성에 대하여 역행까지 하고 있다는 사실들이 심각한 우려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철학은 분명 시대와 사회의 현실적 토양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종합적인 지적 노력들의 결집장인 것입니다. 이제 한국의 철학계는 지난 날의 왜곡된 도식적 틀과, 주체성을 상실한 타성적 모방을 면밀한 비판적 반성과 함께 철저히 극복하여야 하며 새로운 시야와 태도를 가지고 우리들 현실의 심층부에 놓여 있는 문제들에 가까이 다가가야만 합니다. 진정 우리의 철학계는 근본적인 질적 전환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 철학사를 되돌아볼 때, 철학은 어렵고 복잡한 시대적 전환기의 상황에 놓여질수록 더욱더 그 진가를 발휘하여 그 사회의 내면에 은폐되어 있는 총체적 구조 연관의 모습들을 드러내어 밝혀 주고 새로 운 이념과 비젼을 제시함으로써 더 진일보한 인간 실현의 공동체 형성에 기여해 왔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한국의 현실 상황은 어려운 문제들이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난해한 장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철학의 탄생을 예고하는 풍부한 다양성의 토양인 것입니다. 이 새로운 철학적 종합은, 현재 우리의 삶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성의 토양이 아직 성숙한 문화적 종합을 이루지 못한 채 그저 혼재된 상태에 놓여져 있음으로 인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대학과 사회는 외양상으로는 풍부함에 넘치고 있고, 또 전반적인 사회 발전의 수준이 이미 산업사회의 단계를 넘어 첨단 과학 기술 정보사회에 진입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지만, 그 내면의 문화 적이고 사회적인 과정들은 어느 틈엔가 자각하기 힘들 정도로 기술적 효율성과 자본의 논리라는 획일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지배당하는 일차원적인 단순성의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교육과 문화는 이러한 일차원적인 경향에 밀려 비인간화의 황폐한 지대로 내몰리고 있는 것입니 다. 대학에서조차 철학은 잊혀져 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심각한 상황 때문에 철학은 자기 인식의 눈을 다시 떠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오늘날 이 사회에서 어떠한 획일적 논리가 막후에서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가, 그 논리는 각 분야에서 어떠한 지식의 형태로 또 어떠한 문화의 방식으로 보이지 않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공개된 담론의 무대에 올려 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망각되고 왜곡된 우리들 존재의 본질을 다시 일깨우는 일이며, 또한 진정한 자유로운 인간 공동체의 문 화 형성에로 나아가는 길의 시작일 것입니다. 미래의 우리의 철학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현실 상황의 내면적 구조 연관의 변화하는 역동적 모습을 분명히 드러내어 밝혀 주고 우리들 삶의 본질을 지켜 줌으로써 인간 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문화 적 터전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철학의 과정은 우리의 철학인들 모두가 현실의 문제 의식에 공감하 고 서로의 학식과 구상들을 대화하며 뜻을 함께 모으는 가운데 서서히 결실을 맺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들의 이러한 대화와 논의의 과정이 본래부터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은 오늘날 모든 국가들의 사회 생활이 국제적인 상호 교류와 영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의 한국 사회는 동서양의 문화적 교차 지점에서 매우 복잡한 다양성의 현실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을 위시한 세계 여러 나라의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새로운 철학은 동서양의 수많은 철학 이론 들이 함께 참여하여 토론하는 집단적인 노력을 통하여 탄생할 것이며, 본 大同哲學會는 그것을 위한 대화의 중심 무대가 될 것입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대동철학 [Journal of the Daedong(Graet Unity) Philosophical Assocition]
  • 간기
    계간
  • pISSN
    1229-0750
  • 수록기간
    1998~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105 DDC 10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동철학 제101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