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신경-인지 모델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다중양상성’은 다양한 맥락에서 상이한 의미로 이해된다. 이 글에서 ‘다중양상성’은 음악의 미적 경험에서 지각과 의식이 신경 토대 연결망을 통해 인지적으로 동기화(synchronization)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이 과정을 도식적으로 말하면, 우선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 자료들이 뇌의 피질 안에 분산된 전문 모듈들에 의해 신경적으로 처리‧저장된다. 심적 상태가 생물학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어떤 시점에서, 주체가 음악의 특수한 청각적 국면에 주목할 때 비청각적인 신경적 자료들은 활성화되어 중앙 의식에 합류한다. 즉 중앙 의식의 요구에 부응하여 생물학적 데이터가 심적 상태로 변환되고 현재화되며, 이에 따라 주체의 청각 경험은 상이한 지각 양상들과 앙상블을 이룬다. 이 단계에서 기억과 사고가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서사적 해석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주체의 관심사에 달린 문제이다.
본 논의의 직접적인 초점은 음악에 있지만, 다중양상성 논제는 예술 일반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첫째로, 다중양상성 논제는 매체 지각의 다양성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감상자가 작품 전체의 형식으로서 투사하는, 자기 표상적인 의식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예술 감상자가 미적 주목을 통해 가상적으로 투사하는 통합적인 작품 형식은 그가 현재 의식적으로 주목하는 작품의 지각적 면모들뿐만 아니라, 그 자료들을 추상하여 전체 형식으로 구성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상이한 양태의 ‘지각 흔적’들과 개념적 사고틀이 산출하는 다중양상적 앙상블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지적으로 동기화된 앙상블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니라 의식 아래 차원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지각 모듈들과 그것들을 연결해주는 비의식적인 신경 연결망이다. 따라서 비록 ‘신경미학’이 고차적 사고, 지향성, 예술사적 지식 등이 어떻게 예술 경험에 관여하는지를 직접 설명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신경 토대가 어떻게 미적 경험의 대상인 자기 표상적 의식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Multimodality"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in various contexts. "Multimodality", in the paper, refers to the cognitively synchronizing process of perceptual features and consciousness through the network of neural substrates. To put the process schematically, first of all, the diverse sense-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world are processed and stored by virtue of modular regions dispersed in the cortex. Namely, mental states are converted into neural states. Then, at some point later on, when the subject pays attention to a specific feature of musical performance, for the reason of the novelty or excellence of performance, some of the biologically stored modular data are converted to conscious states. That is, neural states are turned into mental states by the attentiv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who is now fully engaged in constructing the imaginary, integrative, and abstract form of a specific piece of music. Musical ekphrasis may or may not play a part at this stage, depending on the focal points of the listener.
Although the auditory experience of music is mainly dealt with in the paper , the multimodality thesis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as to the issue of form in art can be expanded and applied to the arts other than music. For, above all, the multimodality thesis does not concern multi-mediality or collaborative art forms, but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ensory-motor brain modules and consciousness. The listener"s attentive consciousness restores and converts perceptual vestiges of various sorts stored in neural substrates, and engages itself in consctucting an abstract form of a work of music. Here, "abstract" only means that the form in art as the ultimate o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is a state of consciousness, exemplifying itself as well as retaining perceptual resources. In a word, art and its object, irrespective of its specific medium, fundamentally multimodal. Secondly, multimodality of artistic form as a mode of consciousness is made possible by virtue of neural networking in the infra-personal level.

목차

[한글 요약]
I. 서론
II. 미학 연구 방법으로서 신경-인지 접근의 특성과 한계
III. 지각 차원의 다중양상성: 신경 토대 연결망
IV. 의미화 과정의 다중양상성
V. 심미적 경험의 다중양상성: 의식의 표본화와 예증
VI.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105-001163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