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레몽 부동의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통한 관계 해명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증은 17세기 대승적 합리론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예찬과 그를 통해 재구성된 아비투스에 대한 사회학적 · 철학적 비판 사이의 조화를 찾는 시도이다. 이는 곧 조건과 원인이라는 과학 만능주의적 탐구로 환원되지 않는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의 이념을 정립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레몽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매개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회계급이 개인의 행위를 결정한다고 본 부르디유는 사회를 ‘사회적’ 행위자를 소외시키는 ‘시스템’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부동은 행위주체의 진정한 합리성이 실행되는 ‘콘텍스트’로 사회를 해석하면서 부르디유의 시스템을 교정하는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그런데 부르디유 사회학에서 아비투스의 논리는 역설적이게도 세계와의 실질적 관계 위에서가 아니라 어떤 문화에 동화되어버린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주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메를로-퐁티의 신체도식 이론은 ‘세계로 열린 존재’의 중재로서 신체개념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은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잇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find a harmony between Merleau-Ponty’s admiration of the Grand Rationalism and his reconstituted philosophical criticism against Bourdieu’s idea of Habitus. That is connected to setting up the idea of ‘extended rationality’ by Merleau-Ponty which could not be reduced to almighty scientism that solely pursues cause and condition. From this perspective, I would like to simultaneously utilize Bourdieu’s critical sociology and Boudon’s sociological epistemology as a medium. Bourdieu, maintaining that the social class determines an individual act, criticizes the society as a ‘system’ which alienates social agents(acted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Boudon interprets the society as a ‘context’ where the authentic rationality is realized. He proposes the so-calle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at is designed to rectify Bourdieu’s system. Paradoxically, in Bourdieu’s sociology, the logic of Habitus is rooted not in the relation with the world but in the subjectivity such as a social agent who is incorporated in a culture. On the contrary,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schema belongs to the concept of body as a vehicle of ‘Being opened toward the world’. In brief, the rationality extended by Merleau-Ponty will be a bridgehead between Bourdieu and Boudon.

목차

【요약문】
Ⅰ. 열면서
2. 방법의 문제 : 인과율적 전체론적 결정론적 설명과는 대립된, 목적 및 가치의 이해
3. 부르디유의 전체론적 사회학이 해명하는 아비투스 이념
4. 메를로-퐁티의 신체도식과 부르디유의 아비투스의 관계
5. 방법론적 개체주의 사회학의 아비투스 비판
6. 개체주의가 말하는 합리적 선택론의 명과 암
7. 아비투스에 대한 비판을 위해 필요한 철학적 프레임
8. 대승적 합리론에 관한 메를로-퐁티의 예찬과 아비투스에 대한 그의 철학적 비판 사이의 조화
9. 닫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105-001537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