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25.23
3.17.25.23
close menu
KCI 등재
고귀한 의식과 비천한 의식의 변증법 -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
Dialectic of Noble and Base Conscious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남기호 ( Nahm Kiho )
시대와 철학 31권 1호 93-140(48pages)
DOI 10.32432/KOPHIL.31.1.4
UCI I410-ECN-0102-2021-100-000990342

이 글은 헤겔의 『정신현상학』 “정신” 장, “도야” 절에서 전개된 고귀한 의식과 비천한 의식의 변증법적 전도 과정을 분석적으로 재구성한다. 여기서 자기의 지양 없이 국가 권력에서 타자화된 자신의 즉자존재와의 동등성을 보는 고귀한 의식은 봉사의 영웅주의와 아첨의 영웅주의를 거쳐 국가 권력을 자신의 대자존재를 위한 부(富)로 전도시키는 비천한 의식으로 밝혀진다. 반면에 자신의 대자존재를 억압하는 국가 권력으로부터 비롯된 부에서 자신의 즉자존재와의 부등성을 보는 비천한 의식은 절대적으로 찢어짐으로써 근대의 분열된 주체와 그 세계의 가장 큰 진리를 나타내는 고차적인 의식으로 평가된다. 헤겔에 따르면 이 의식이야말로 근대의 계몽과 종교 그리고 혁명을 추진한 진정한 주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reconstruct analytically the dialectical inversion process of noble and base consciousness in the chapter, “The Spirit”, the section, “The Culture” of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Here the noble consciousness(das edelmütige Bewusstsein), which looks, without sublimation of self, at the equality with its alienated being-in-itself in the state power, turns out to be base, in that it inverts the state power through the heroism of service and flattery into the wealth for its being-for-itself. Contrarily, the base consciousness(das niederträchtige Bewusstsein), which sees the inequality with its being-in-itself int the wealth from the state power which suppresses its being-for-itself, is estimated through the absolute laceration(Zerrissenheit) as the higher consciousness which bears the great truth of modern split subject and his world. According to Hegel, it is just this consciousness, that carries forward the enlightenment, religion and revolution in modern times.

1. 서론: 소외인가 타자화인가
2. 도야의 세계: 국가 권력과 부(富)
3. 고귀한 의식의 전도(顚倒)
4. 비천한 의식의 찢어짐
5. 맺음말: 실천적 의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