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아침놀』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의 목적은 『아침놀』에서 니체의 도덕 비판을 ‘도덕의 자연성 회복’의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데 있다. 이 글은 니체의 도덕 비판의 최종 목표가 도덕 자체를 폐기하거나 모든 도덕을 부정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도덕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도덕의 자기극복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글에서는 『아침놀』에서 니체의 도덕 비판을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그것은 도덕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측면과 도덕에 의해 비판받아온 것들을 긍정하는 측면이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측면을 도덕에 대한 이해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파악하고, 그 측면들이 어떤 점에서 도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기획인지를 밝힌다.
또한 이 글은 『아침놀』에서 수행된 도덕의 자연성 회복 작업이 도덕의 가치 물음을 위한 계보학적 탐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니체의 도덕비판은 도덕을 둘러싼 편견들에서 벗어남으로써 도덕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도덕의 자연성을 회복함으로써 도덕에 의한 도덕의 자기극복을 수행하는 도덕재평가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삶의 조건과 성장의 조건이라는 도덕의 자연적 특성을 회복함으로써 삶과 도덕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도덕을 삶에 유효한 도구로서 적절히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Nietzsche’s moral criticism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In doing so, I will argue that Nietzsche’s ultimate goal of moral criticism is not to discard morality itself or deny all morals but to self-overcome moral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wo major aspects of Nietzsche’s moral criticism presented in Daybreak. One is the aspect of liberation from morality and the other is aspect of affirmation of all things that have been criticized by morality. In this article, I grasp each aspect in terms of the reversal of understanding of morality, and reveal how the aspects are working together toward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I also note that Nietzsche’s work of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in Daybreak serves a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process of turning to a genealogical inquiry for the question about the value of morality. Nietzsche’s moral criticism is to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re-evaluation of morality, which restores natural morality by escaping from the prejudices surrounding the traditional notions of morality, and thereby achieving the self-overcoming of morality. In this respect, by restoring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morality, which is the condition of living and the of growth, it is possible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morality, that is, morality as an effective tool for life.

목차

[한글 요약]
Ⅰ. 머리말
Ⅱ. 도덕의 자연적 기원
Ⅲ. 도덕으로부터의 해방
Ⅳ. 개인적 가치평가의 긍정
Ⅴ. 도덕의 자연성 회복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