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에서 나는 현대 메타윤리학에서 신감성주의가 흄의 자연주의의 어떠한 점을 전수 받았는지 보여주기 위해 흄의 철학에서 ‘자연’의 의미를 분석하고, 흄이 ‘개방적(liberal)자연주의’를 통해 도덕을 위한 공간을 어떻게 마련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둘째, 나는 흄의 자연주의의 주된 측면이 환원적 시각을 유지하는 과학적 자연주의라는 해석에 반대한다. 이를 보이기 위해 나는 그의 인간학의 주된 주제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주목한다. 내가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핵심은 흄의 인식론과 윤리학 둘 다가 ‘약한’ 자연주의 또는 ‘개방적 자연주의’로 특징져 질 수 있다는 것이다. 흄의 인식론과 윤리학을 ‘약한 자연주의’로 해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인성론』 제 2권 정념론이다. 정념이라는 본성을 중심으로 사회적·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초점을 맞춘 생활세계 인식론을 이해하면 흄의 『인성론』 제 1, 2, 3 권의 자연주의의 일관성을 이해할 수 있다. 흄에 따르면 우리가 세계에 대해 갖는 믿음은 습관이나 자연적 성향에 따라 인과적으로 결정되는 자연적 사실이기 때문에 그것은 다른 자연적 사실들처럼 정당화의 문제가 아니라 습관, 자연적 성향, 상상력과 같은 인간본성의 원리에 의해 설명된다. 이로써 극단적 회의주의는 인간본성의 원리에 호소하는 존재론적 자연주의에 의해 해소된다. 이에 더하여 정념을 통한 일상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는 그의 정념론 또한 자연주의이다. 윤리학에서 흄의 자연주의 전략은 허치슨의 도덕감 정론을 따르지만 허치슨의 선천적인 내재적 도덕감의 존재를 부정하고 도덕감의 발생기제를 자연적 윈리인 공감에 호소하는 것이다. 끝으로 나는 도덕의 자연화 전략에 관해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도덕적 평가에 대한 흄의 입장을 살펴본다. 가치가 세계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속에 존재한다는 흄의 입장을 우리는 투사주의(projectivism)라 부를 수 있다. 그러나 투사주의에서 말하는 것처럼 도덕판단이 그 자체로는 옳고·그름이라는 속성을 갖고 있지 않는 세계에 우리의 비인지적 느낌을 투사한 것이고, 그와 같은 비인지적 느낌의 옳고 그름은 그와 같은 느낌에 대해 행위자의 승인·불승인이라는 고차 태도(higher-order attitude)에 의존한다면 도덕의 보편성과 도덕판단의 규범성을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이에 관한 답을 나는 최근에 흄의 도덕감정론을 발전시킨 프린츠의 입장을 검토해 보고 그 한계점을 보인 후, 흄의 관습적 규약론에서 찾고자 한다.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analyze the meaning of ‘nature’ in Hume’s philosophy and show how Hume makes the space for morality through ‘liberal naturalism’ in order to see how Hume’s naturalism has been inherited in contemporary meta-ethics. To this end, secondly, I do not endorse the interpretation that Hume’s main aspect of naturalism is scientific naturalism, which maintains a reductive view. To show this, I focus on what constitutes the main theme of Hume’s science of man. The point I would like to argue in this paper is that both Hume’s epistemology and ethics can be characterized as ‘weak’ naturalism or ‘liberal naturalism’. The main par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preting Hume’s epistemology and ethics as “weak naturalism” is of the passion in Book 2 of Hume’s Treatise. Once understood the epistemology of the living world in Book 2 of Treatise that focuses on human beings as social and biological being centered on the nature of passion, we can understand the coherence of naturalism in Books, 1, 2, 3 of Hume’s Treatise. According to Hume, the belief we have in the world is a natural fact that is causally determined by habits or natural tendencies. Therefore, it is not a matter of justification like other natural facts, but is explained by the principles of human nature such as habits, natural tendencies and imagination. As a result, extreme skepticism is resolved by ontological naturalism appealing to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In addition, his theory of passion that focus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everyday people through passion is also naturalism. Hume’s strategy of naturalism in ethics follows Hutchison’s moral sentiment theory, but denies Hutchison’s innate inherent moral sense and appeals to the sympathy as mechanism by which the moral sense is generated. Finally, I examine Hume’s position on moral assessment in order to look more closely at the naturalization strategy of morality. We can take Hume’s position that value is not in the world itself but in our minds as projectivism. However, if moral judgment is a projection of our non-cognitive feelings to a world that does not have the property of right and wrong in itself, and the right and wrong of such non-cognitive feelings are the higher-order attitudes, how can we tell the universality of morality and normativity of moral judgment? Finally, I try to find ou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from Prinz who is a contemporary Humean and from Hume’s own convention theory.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스트로슨의 약한 자연주의
3. 흄의 ‘개방적 자연주의(Liberal Naturalism)’
4. 흄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과 도덕판단의 규범성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