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회화(Pittura Metafisica)’에 나타난 니체의 철학적 인간상에 관한 고찰이다. 초현실주의의 선구자인 데 키리코는 니체의 철학을 기반으로 현실과 비현실이 뒤섞인 ‘형이상학적 회화’를 창조한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정신과 영원회귀, 위버멘쉬는 은유의 방식을 통해 데 키리코 특유의 회화적 형식으로 재탄생한다.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회화의 방식이란 눈에 보이는 표면적 세계 이면에 존재하는 수수께끼와 미스터리를 품은 세계의 발견이자 재현이다. 데 키리코에게 회화의 진리란 이성과 관습을 통한 기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식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이것은 원근법의 파괴, 데페이즈망 기법, 마네킹의 형상, 건축적 주제의 반복 등의 형식을 통해 달성된다. 이는 바로 니체의 철학적 인간상, 즉 영원회귀와 디오니소스적 인간인 위버멘쉬를 함의한 회화적 외침이다. 하나의 진리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순적이고 비합리적 상황에 대한 긍정과 자기극복을 형이상학적 회화 속에 함축하고자한 데 키리코의 의지는 바로 힘에의 의지를 포함한다. 니체와 데 키리코의 방식은 논리적 인식에 맞서 진실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진정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인간학적, 존재론적 물음에 대한 성찰이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metaphysical paintings’ of De Chirico, a pioneer of Surrealism, in which reality and unreality are mixed,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s Dionysian spirit, ‘Ewige WiederKunft’, and ‘Übermensch’ are reborn in De Chirico’s unique pictorial form though metaphor.
The metaphysical paintings of De Chirico reveal the world that exists behind the visible surface world. This is a world of enigma and mysteries. For De Chirico, the truth of painting is a way to get away from rational conventions. This truth is achieved through the destruction of perspective, the dépaysement technique, the shape of mannequins, and the repetition of architectural motifs. This is a pictorial cry that implies Nietzsche"s philosophical image of man, that is, ‘Ewige WiederKunft’ and ‘Dionysian human’, the ‘Ubermensch’. Therefore, affirmation of contradictory and irrational life and self-overcoming are the methods of Nietzsche and De Chirico. Their method is a reflection on the anthropological and ontological question, which confronts logical cognition, and truly ‘what is human?’, truly ‘what is life?’.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니체와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
Ⅲ. 니체의 철학적 사유와 ‘형이상학적 회화’의 수수께끼
Ⅳ.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회화’에 나타난 니체의 인간상: 디오니소스적 인간, 영원회귀와 위버멘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010-001986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