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디지털 매체는 인간의 존재 방식, 사유 방식 그리고 소통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실 매체와 예술은 분리 불가능하다. 예술은 무엇인가를 외부로 표현해야만 존재할 수 있고, 표현하기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술은 새로운 기술적 장치를 표현의 도구로 적극 사용했다. 그러나 점차 예술 생산에서 매체의 비중이 커지면서, 매체예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최초의 매체 예술은 사진이다. 사진이 이미지의 기술적 복제와 재생산을 가져왔다면,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의 변형을 가져왔다. 디지털 매체 시대에서는 원본성과 무관한 이미지들이 등장하기도 하고, 또 이미지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다른 장르의 예술이 혼종화 형태로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는 중심으로 매체와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디지털 매체 시대에서의 이미지를 둘러싼 논쟁의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하고자 한다. 그다음 벤야민과 플루서의 이론을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기능과 가치에 대해서 전망하려고 한다.

Digital media has changed the way humans exist, think, and communicate. Not only that, it also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culture and arts. In fact, media and art are inseparable. Art can only exist by expressing something externally, and ‘tools’ are needed to express it. Therefore, art actively used new technological devices as tools for expression.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media in art production gradually increased, media art emerged. The first media art was photography. While photography brought about the technical duplication and reproduction of images, digital media brought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In the era of digital media, images irrelevant to originality sometimes appear, and images are freely transformed. Not only that, but hybridization of images and other genres of art is also done freely.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images, focusing on these changes, and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images in the digital media era. Next, I will try to forecast the function and value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the theories of Benjamin and Flusser.

목차

요약문
1. 새로운 매체와 이미지 생산
2. 이미지의 기술적 재생산
3. 이미지의 디지털적 변형
4. 이미지 존재 방식의 혼종화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082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