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39.188
3.138.139.188
close menu
KCI 등재
박치우 ‘찾기’ - 박치우 연구에 발생한 이해와 오해, 그리고 논쟁들 -
Exploring Park Chi-woo - The 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 and Arguments about Research on Park Chi-woo -
박민철 ( Park Min Cheol )
시대와 철학 31권 1호 141-173(33pages)
DOI 10.32432/KOPHIL.31.1.5
UCI I410-ECN-0102-2021-100-000990357

오늘날 박치우 철학에 대한 연구는 한국현대철학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는 핵심 주제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박치우 연구를 살펴볼 때 박치우 철학이 어떤 특정한 상징체계 내지 연관관계 속에서 부자유스럽게 위치하고 있음을 발견하기는 어렵지 않다. ‘경성제국대학 철학과’, ‘신남철과 박종홍’, ‘빨치산과 게릴라’, ‘박헌영’ 등의 용어 속에서 묘사되는 박치우 철학의 구체적인 모습과 그 의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중요한 것은 박치우 철학의 진정한 의의와 가치, 그리고 그 한계들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20여 년 동안 수행된 적지 않은 박치우 철학에 대한 연구들의 의의 및 한계들을 분석함으로써 박치우 철학에 접근할 수 있는 또 다른 경로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특히 ‘빨치산’과 ‘박종홍’이라는 두 가지의 상징이 그 동안 박치우 연구에 있어서 과도한 규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박치우를 신비화하거나 부차화시켜버리고 있음을 비판한다. 나아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박치우의 역사철학에 대한 연구, 학제간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oday, research on Park Chi-woo’s philosophy has been developed as a key theme constituting some part of Korean modern philosophy. Reviewing research on Park Chi-woo, however,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his philosophy is in an unnatural position within a certain symbol system or correlation. The specific appearance and significance of Park’s philosophy described in terms such as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Shin Nam-cheol and Park Jong-hong,” “partisan and guerrilla,” and “Park Heon-young” are still not clear. What is important is to explore the true significance, value, and limitations of his philosophy.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of other paths to approach Park’s philosophy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quite many studies on his philosophy conducted during the past 20 years. In particular, it criticizes the fact that the two symbols of “partisan” and “Park Jong-hong” have had excessive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defining research on Park Chi-woo, resulting in mystifying or downgrading hi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on his historical philosoph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1. 한국현대철학과 ‘박치우’라는 표상
2. 박치우 연구의 몇 가지 흐름들: ‘이해’와 ‘오해’ 그 사이에서
3. 과도한 수사적 상징이 집어삼킨 철학, 그로부터 벗어나기
4. ‘등가적인 방법론에서의’, 또는 ‘대타항으로서의’ 박치우 철학을 복원하기
5. 미래적 기획으로서 박치우 연구의 가능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