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1.188
13.59.11.188
close menu
KCI 등재
북의 국가담론: 봉건적 가부장에서 젠더화된 민족국가로
North’s State Discourse: From a Feudal Patriarch To a Genderization of Nation
박영균 ( Park¸ Young-kyun )
시대와 철학 31권 4호 45-78(34pages)
DOI 10.32432/KOPHIL.31.4.2
UCI I410-ECN-0102-2022-100-000280409

담론은 학교, 교회 등의 물리적 장치를 가지고 객관적 관계 및 그것에의 동일화를 통해서,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는 주체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물질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북의 국가담론에 관한 연구도 이런 세 가지 지점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체제의 강고함은 억압의 정도가 높을수록 떨어지며 자발성이 높을수록 올라간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연구들은 주체사상의 지배 이데올로기적 기능 및 국가장치를 통한 강제 또는 세뇌에 맞추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의 국가담론을 생산하는 학교, 당-인민위원회 등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들에 관한 연구 및 그것의 수행적인 힘들에 관한 연구보다 북의 국가담론이 객관적으로 근거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와 그것에 자신을 상상적으로 동일화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북의 국가담론이 봉건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나 유교적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국가를 젠더화한 담론이라는 점을 ① 사회주의대가정론과 ②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 있다. 또한, 이런 분석에 근거로 하여 ③ 젠더화된 국가담론이 작동할 수 있는 상상적 동일화의 자원으로서 역사적 경험과 문화적 자산, 그리고 객관적인 삶의 조건들을 다루고 있다. 북의 젠더화된 국가담론은 유교가 아니라 ‘민족’이라는 토양 위에서 식민과 분단의 트라우마를 중핵으로 하여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자산을 전유하고, 민족을 가족적으로 국가화함으로써 정치적 아버지인 수령에 대한 충성이라는 상징체계를 만들어냈다. 따라서 이 글은 북의 젠더화된 국가담론에 대한 연구가 이들 물질성의 해체 및 균열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남의 (여)성에 대한 구조적-문화적 폭력에 대한 해체 및 몸의 해방을 포함한 (여)성해방의 차원까지 나아가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iscourse has a materiality in that it based on objective relationships and identification with them, physical apparatuses such as schools and churches, and produces subjects that perform specific action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n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a study on the three points. The strength of the system decreases as the degree of repression increases, and increases as the spontaneity increas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compulsory or brainwashing by the state apparatus and ideological ruling function of Chuche Ideology. Thus, this paper is not a study on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 such as schools, Party-People’s Committee, etc. that produce the North’s state discourse, but focuses on the social relationships on which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objectively based and the mechanism that imaginatively identifies with it.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not a feudal patriarchal and Confucian ideology, but a discourse in which the state is gen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① theory of the large socialist family and ② theory of social-political life. Also, based on this analysis, it deals with historical experiences, cultural assets, and objective life conditions as resources for imaginative identification in which ③ the gendered national discourse can operate. North’s gendered state discourse is not Confucianism, but on the soil of ‘nation’, it created a symbolic system that loyal to the leader as a political father with the trauma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as the core, appropriating the historical asset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making the states as a family. Therefore, this article assert that the study of the North’s gendered national discourse not only studies on the dissolution and cracking of these materiality but also the resolution of structural-cultural violence, the women’s-sexual liberation Including body’s liberation.

1. 들어가며: 이데올로기의 물질성과 북의 국가담론 연구
2. 봉건적 가족주의의 해체와 가족화된 국가: 사회주의 대가정론
3. 젠더화된 국가담론: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4. 젠더화된 국가담론의 물질성: 배급, 봉쇄, 그리고 역사적 자산들
5. 나가며: 젠더화된 국가담론과 균열 가능성 및 해체 전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