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88.73
18.191.88.73
close menu
KCI 등재
인문학의 이중고-글로벌 표준화와 로컬의 문맥화
The Double Distress of Humanities: Global Standardization and Local Contextualization
박치완 ( Park Tchi-wan )
철학연구 56권 269-302(34pages)
DOI 10.26839/PS56.9
UCI I410-ECN-0102-2018-100-000703233

글로벌 시대로 진입하면서 경제, 문화, 기술 등 거의 전 분야의 지식이 표준화, 글로벌화를 지향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지식계에서도 `제4차 산업 혁명`을 운운하며 지식의 글로벌 표준화가 마치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방책(?方策)이라도 되는 양 당연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감히 말해 학문의 다양성을 위협하는 신식민주의적 발상일 뿐이며, 특히 로컬의 토착적 지식들을 황폐화시킬 가능성 또한 높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모든 학문이 과연 글로벌 표준화가 가능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글로벌 표준화가 불가능한 영역으로는 인문학이 대표적일 것이다. 인문학은 로컬문화를 반영하고 보존하는 대표적인 토착학문이다. 해당 로컬문화의 역사와 전통이 문맥화되어 있지 않은 인문학은 기본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표준화된 지식이란 `주인 없는 지식`일 뿐이요, 글로벌화된 지식 역시 `허공중에 떠도는 환상`일 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에서 우리는 인문학에서 고유한 로컬성의 유지가 얼마나 중요한지의 문제를 문화인식론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As we enter the global age, almost all fields of knowledge such as economy, culture and technology are aiming for standard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academic community in the Republic of Korea is keenly awa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is just as necessary as a measure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is is only a new colonial claim that threatens the diversity of scholarship, and it is also highly likely to devastate local indigenous knowledges. This is why we can not help but ask whether all the disciplines are global standardization. Humanities will be a typical area where global standardization is impossible. Humanities is a representative academic field that reflects and preserves local culture. There is basically no Humanities that does not have a contextualized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local culture. Standardized knowledge is “knowledge without people”, and globalized knowledge is “illusion floating in the air”. In this sense, we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examine on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proper locality in humanities in terms of cultural epistemology.

Ⅰ. 인터넷으로 검색되는 지식만이 지식인가?
Ⅱ. 인문학의 중심은 도처에 있고, 주변은 그 어디에도 없다
Ⅲ. 로컬 장소가 모든 인문학의 출발점이다
Ⅳ. 로컬 인문학의 `독립선언`이 필요한 때이다
Ⅴ. 로컬과 글로벌의 쌍방향성만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