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파스칼적 자기 인식의 현대성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철학자로서의 파스칼의 사상을 다룬다. 이 관점은 논쟁적이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자들이 철학자로서의 파스칼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파스칼 사상 안에서 철학의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의 사상 안에서 철학이 가진 지위를 평가하는 경우에도 철학을 자기 부정과 해체를 통해 호교론과 기독교 진리로의 이행을 준비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해한다. 이 관점과 달리 나는 이 연구에서 파스칼의 철학 비판이 고유한 철학적 질문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나는 철학사에서 파스칼 사상의 자리를 규정하고 그의 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에게서 철학에 대한 비판이 호교론에 봉사하는 도구일 뿐이라고 보는 소극적 해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파스칼이 철학 비판 또는 철학자들에 대한 해체적 읽기를 호교론과 자비의 질서로의 이행을 위해 유용한 것으로 생각했다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파스칼의 반철학으로서의 철학은 이성의 질서와 기독교 복음의 진리 양자로 환원될 수 없는 양자 사이의 경계에 대한 사유이며 이 사유는 인간의 자기 인식과 관련해서 적지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들이란 이성적 질서와 전통적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포착될 수 없는 인간 실존의 조건에 대한 생각들이다.

In this study, I try to read Pascal’s thought as belonging to philosophy. This perspective is controversial because many scholars deny that Pascal is a philosopher. They deny an independence of his philosophy and, even when evaluating a status of philosophy in his thought, they understand it only as instrument for a transition to the apology and the christian truth through its autonegation and autodestruction. But, in order to determine a place of his thought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to evaluate it from a today’s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is passive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his philosophy as a simple instrument for the christian apology. Of course, there is no doubt that Pascal thought that the critique of philosophy is useful for the transition to the apology and the order of charity. But his philosophy as antiphilosophy is a thought about the frontier between the order of reason and the christian Truth, frontier that cannot be reduced to the both. I will show that his philosophy on this frontier brings considerable effects in the Selfawareness of the human being, that is, the thoughts on the human being’s existential conditions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from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order of reason.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 파스칼과 철학의 문제
2. 철학자들에 대한 비판과 사유의 존엄성
3. 자기 인식으로서의 참된 철학 : 행복 추구, 실존의 근본조건, 자아론의 해체, 법의 기원
4. 나오며 : 파스칼적 자기 인식의 현대성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5-003401962